가난에 대한 단상

도화지 2016. 10. 21. 18:06

1. '노블리스 오블리제'에 열광하는 사회의 저변엔 가난한 다수의 불만이 도화선처럼 깔려 있다. 정직한 부에 대한 갈망이 깊다는 건 부정한 부에 대한 인식이 팽배하다는 역설에 가깝다. 결국 부자들을 손가락질하는 이들은 실상 가진 것 하나 없이 증오까지 끌어안고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결국 그 손가락들은 정작 자신들이 손가락질하는 대상보다 가깝게 닿는 주변의 손가락들과 부딪혀 싸우거나 기형적인 집단 논리로 번져나가기 십상이다. 사회적인 갈등을 야기시키는 건 결국 부의 대물림을 손쉽게 허하고, 빈부 격차의 확대를 방관하는 한국 사회의 고질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금수저를 물고 태어나지 않으면 억울해지는 사회란 얼마나 불행한가. 그 불행을 개개인의 무능 탓이라고 몰아갈 때 부는 완벽한 권력이 돼서 도처에 깔린 무능을 깔고 앉아 영생을 누릴 것이다. 대를 이어 무능에서 벗어날 수 없는 가난한 운명공동체, 완벽한 지옥의 완성.


2. 한때 정치적인 관심도 없고 투표도 하지 않는 ‘20대 개새끼론’이 고개를 들기도 했지만 어쨌든 기성세대가 ‘개판’으로 만들어놓은 사회적 인프라의 최대 피해자는 현재의 10대와 20대다. 고학력을 요구하는 사회에서 대학 입학금과 등록금은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그 외에도 다양한 스펙 요건을 채우기 위한 비용이 요구되는 가운데서 은행에선 학자금 대출로 금리 장사를 하고 있다. 단군 이래 가장 스펙이 좋은 애들이 단군 이래 가장 돈을 못 버는 세대가 되는 아이러니. 이게 말이 되는가.


3. 부유하게 태어난 건 행운이다. 행운을 누리는 건 자유다. 하지만 행운을 실력으로 착각하고, 타인의 가난을 무능으로 규정하는 건 자유가 아니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부를 자기 실력으로 행사하는 건 보기 드문 꼴불견이다. 그 이전에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부를 자기 실력처럼 행사하도록 방관하는 사회는, 정치는, 문화는 심각하게 꼴불견이다. 행운을 방치하는 사회는 노력을 간과하게 만들고, 실력을 어지럽힌다. 부모 잘 만난 것이 자랑거리가 되는 사회는 끝내 멸망해도 상관 없다. 아니, 멸망하는 게 낫다. 그러니 우리는 생존할 가치가 있는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건강한 목소리를 모아야만 한다. 어차피 우리는 대부분 가난하다. 그런데 가난이 꼭 불행의 동의어가 될 이유는 없다. 부자가 아니라서 행복할 수 없다면 그건 분명 이상한 일이라는 것을, 결코 잊어선 안된다.

'도화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의 시대는.  (2) 2017.01.19
마른 빨래를 개며  (0) 2016.09.27
인생을 낭비하자  (0) 2016.01.28
사람이 미래다  (0) 2015.11.30
지하철에서의 화장이 추하다는 그 입이 추하다  (0) 2015.11.25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