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르노>는 기호학자 로버트 랭던(톰 행크스)을 앞세운, 댄 브라운의 소설을 영화화한 세 번째 탐정물이다. 그런데 <다빈치 코드> <천사와 악마>의 로버트 랭던이 기호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중세부터 이어져 오던 종교집단들의 은밀한 광기를 추적해 나간 것과 달리 <인페르노>의 로버트 랭던은 현대문명을 관통하는 인구과잉문제와 연관된 테러리즘에 맞선다. 어떤 의미에서 <인페르노>의 로버트 랭던은 그가 아니어도 될만한 일까지 떠맡은 셈인데 그의 역할을 만들어주기 위해 동원된 건 단테라는 모티브를 통해 구상한 기호학적인 퍼즐이다. 그러니까 <다빈치 코드> <천사와 악마>가 로버트 랭던의 개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이야기였던 것과 달리 <인페르노>에선 인위적인 구조적 설계가 필요하다.

'cineman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라랜드> 다시 꿈꾸고, 사랑하기 위해서  (0) 2016.12.25
<4등>1등은 과연 행복한가?  (0) 2016.04.19
<007 스펙터>를 보고  (0) 2015.11.11
<내부자들>을 보고  (0) 2015.11.03
<하늘을 걷는 남자>를 보고  (0) 2015.10.30
Posted by 민용준
,

자비에 돌란은 일찍이 게이임을 커밍아웃했다. 그가 자신의 영화 대부분에서 직접 게이로 등장하는 건 아마 그것이 자신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리얼리티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만큼 자비에 돌란의 영화를 퀴어영화의 범주에 묶어서 설명하는 건 간편하겠지만 한편으론 나태한 일이다. 자비에 돌란의 영화에 등장하는 성소수자들은 대부분 퀴어영화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존재로서 살아가기 보단 영화적인 스토리텔링으로 극대화되는 '삶'의 감정선을 극대화시키는 장치로서 작동하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이다.


'cultur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파라치論  (0) 2015.03.04
피렌체, 보다 나은 삶을 꿈꾸는 여행  (0) 2015.03.02
소년이 온다, 그 날이 온다.  (0) 2015.02.22
서촌에서 생긴 일  (0) 2015.02.08
손 끝에 닿아 피는 꽃, 채화  (0) 2015.02.07
Posted by 민용준
,

 

<호빗> 시리즈를 이끄는 건 <반지의 제왕>으로 익숙한 피터 잭슨이다. 불가피한 이유로 길예르모 델 토로에게서 메가폰을 넘겨 받았다 해도 <호빗>은 끊임없이 <반지의 제왕>과 비교당할 운명을 타고난 작품이란 것이다. 그리고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는 새로운 트릴로지를 받치는 허리이자 전후를 잇는 다리 역할에 충실해야 할 두 번째 속편이다. 본격적인 서사의 진전이 이뤄진다. 트릴로지의 성패를 쥐고 있는 분수령이 되는 작품이다.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