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하듯 분주하게, 에디터들은 각자의 취향으로 세상을 감별한다. 그렇게 수집된 정보가 모여 매월마다 한 권의 <엘르>로 전파된다.
바야흐로 마감이다. 가을바람이 신선하게 불어오는 이 계절의 주말 한낮에 사무실에서 키보드를 두들기고 있는 것도 그런 까닭이렷다. 어젯밤 ‘불금’을 보내자고 카톡을 날렸던 친구는 ‘마감’이라고 답하니 ‘달거리 할때구나’라고 답장을 보내왔다. 순간 자웅동체라도 되어 에이리언 같은 새끼를 낳아서 놈에게 퀵 배송이라도 보내줘야겠단 상상을 했지만 이럴 때가 아니지. 지금 사무실은 조용하게 분주하다. 컬렉션 기간이 시작되면서 해외 출장을 떠난 몇몇 패션 에디터들의 빈자리가 눈에 띄는 덕분일지도 모르겠다. 마감은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키보드 치는 소리가 거진 들리지 않는 걸 보아하니 지금 키보드를 바삐 두들기는 내가 정상적인 마감의 중력에서 이탈하여 비정상적인 궤도 위에서 떠도는 것을 직감한다. 주여, 나를 구원하소서. 정신차리고, 다시 원고의 경로를 재탐색하자.
여자가 8할인 <엘르> 사무실 책상 하나에 입주한 것도 어느덧 반 년이 지나는 중이다. 제대로 밥벌이를 하고 있는 것인지 축내고 있는 것인지는 모르겠다만 여하간 벌써 계절은 두 번이나 바뀌었다. 관련 업체 종사자나 이 업계에 어느 정도 이해도를 지닌 이들이 아닌 ‘아주 보통의 사람들’은 내가 <엘르>를 만든다 했을 때, 두 가지 반응을 보인다. ‘응?’ 혹은 ‘와!’ 전자는 수컷이고 후자는 여자다. 내 절친한 친구 놈은 진지한 얼굴로 창의적인 질문을 던졌다. “그러니까 네가 한다는 ‘퓨처’ 에디터가 뭐야?” 잠시 네 놈의 인생을 편집해 주는 직업을 어떨까 생각했다. 한 여성 동지께서 물어보셨다. “<엘르>면 패션지니까, 직원 분들도 다 패셔너블하시겠어요.” “음, 그건요. 일단 제 꼴을 좀 보고 말씀하세요. 하하하.” “호호호.” “…” 그래, 뭐, 나는 퓨처 에디터니까.
며칠 전, 동료 선후배 에디터들과 함께 회사 근처의 가까운 커피 전문점에서 잠시 수다를 떨던 중이었다. 다양한 화두 중에 최근 장안의 화제인 <개그콘서트>의 새로운 코너에 등장한다는 ‘꽃거지’로 대화가 흥했다. 한 패션 팀 선배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하니 후배가 스마트하게 아이폰으로 동영상을 검색했다. 역시, 이런 아이폰이 있다는 것. 그리고 동영상을 보던 선배는 웃음을 터트리는 대신 감탄했다. “와, 옷 되게 잘 입혔다. 레이어드 너무 잘했는데.” 그리고 나는 생각했다. ‘저거 에세이 떡밥인데?’ 어쨌든 이건 ‘일상의 재발견’ 아닌가. 꽃거지에게도 룩이 존재함을 재발견하는,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패션 에디터만의 멘트. 관심사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보이는 것도 달라지는 법이라더니, 패션 에디터는 꽃거지에게서도 레이어드 룩을 발췌한다.
물론 앞선 문장의 의미 중 절반은 농담이고, 절반은 진담이다. 패션지의 에디터들, 패션, 피처, 뷰티 에디터들이 먹고 사는 방식이란 그들이 지닌 취향을 밑천으로 삼아서 밥벌이를 하는 직업이란 말이다. 고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는 생각 이상으로 즐거울 수도, 고될 수도 있는 일이다. 취미생활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신의 취향을 좀 더 명확하게 아는 것도 중요하고, 타인의 취향을 좀 더 폭넓게 수집하고 탐색하는 것도 중요하다. 취향도, 성격도, 일하는 방식도, 심지어 저마다의 책상 풍경도 다르다. 중요한 건 이렇게 서로 다른 개개인이 모여서 한 권의 잡지를 매달 만들어나가고 있다는 말이다.
물론 한 권의 잡지가 만들어지기까지의 부단하고 지난한 노력들을 상세히 읊을 순 없겠지만 그 잡지가 만들어지는 과정 안에서 에디터들은 결국 저마다 하나의 요소가 되어 한 권의 잡지에 저마다 녹아 들어간다. 마감 사무실의 풍경이란 결국 매달 제작되는 한 권의 책으로 기록되고 보존되는 것이다. 결국 지금 한 권의 <엘르>를 만들고 있는 이 사무실 안의 에디터들이란 저마다 특별한 취향을 섭렵해서 감별하고 전파하는, 아주 보통의 에디터들이란 말이다. 마감은 여전히 끝나가는 중이다. 어느새, 밤이 찾아왔다. ‘퓨처’ 에디터가 되고 싶은 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