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부를 묻고 일상적인 이야기를 나눴다. 지극히 사적이고 사소한 만남이라고 생각했다. 정지우 감독이 <은교>라는 소설을 영화화하기로 했다고 할 때까지도 몰랐다. ‘이적요라는 노시인의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꺼내기 전까지. “사실 원작을 읽기 전까지는 잠깐 노인 분장을 하면 되겠지 생각했죠. 그렇게 긴 호흡으로 가야 하는 건지 몰랐어요. 당황스러웠죠.” 계속 물음표를 던져야 했다. 70대 노인을 연기한다는 것 자체에 대한 의심이 거둬지지 않았다. 정지우 감독은 말했다. “사람은 나이 들어가면서 내면보다 외형이 더 빨리 변하는 것 아닐까요. 환경보다도 그에 익숙해진 느낌들이 빨리 변하지 않듯이.” 동의할 수 있었다. 선택은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14시간이나 소요된 첫 테스트 분장이 끝난 뒤, 거울을 본 박해일은 생각했다. ‘이게 이적요구나.’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배우의 얼굴을 가리면서도 드러나야 하는 그 작업은 ‘기술이라고 하기엔 너무 크리에이티브한 미술작품’이었다. 완성도 있는 특수분장은 ‘단서를 잡아야’ 했던 박해일을 위한 첫 번째 단서였다. 70대 노인이 되기 위해서 박해일은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했지만 그 ‘방대함’은 오히려 ‘큰 숙제’가 될 뿐이었다. ‘노시인을 능동적으로 드러내려 할수록 어색해지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노시인 이적요를 연기하는데 있어서 첫 번째 화두는 ‘노인처럼 보이는가’라는 기능적 측면이 아니었다.“미세하게 떨림까지 잡아낼 수 있는 특수분장을 했지만 결국 저는 한 꺼풀 뒤에 있는 거잖아요. 그냥 박해일이라는 자연인이 그 나이에 그런 생각을 가진 인물이 되어 솔직하게 해보면 어떨까 생각했어요. 그러다 보니까 오히려 부담도 덜어지더군요. 내 안에 있는 것들을 끄집어내는 거였죠.” 박해일이 찾은 키워드는 결국 ‘자제’와 ‘절제’였다.
어느 새 연기경력 10년을 훌쩍 넘긴 박해일은 그 이름값에 비해서 딱히 드러난 바가 없다. 자연인 박해일은 정적 그 자체와 같았다. 작품을 통해 나타났다가 작품과 함께 사라진다. <은교>의 노시인 이적요를 떠올리게 만드는 지점이다. 공적으로 거룩하게 추앙 받는 시성의 대가가 10대 소녀에게 연정을 느끼다 깊은 애정으로 치닫는 과정은 시구로서 기억되는 천재성과 비범함을 배신하면서도 자연인으로서의 은밀한 욕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양면성은 사실 박해일이라는 배우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수없이 동원된 단어다. 사회적인 위치와 개인적인 욕망 사이에서 노시인 이적요는 예상치 못하게 번져버린 뜨거운 감정 앞에서 주저하면서도 한 걸음씩 나아간다. “이적요의 감정은 그의 나이를 감안해봤을 때 굉장히 열정적이고, 폭발적이죠.” 박해일에게 그 감정은 단순한 욕망이 아닌 간절함이었다. “한 순간의 욕망이든 갈망이든 그런 매혹에 빠지면서 다시 자기 자신으로 돌아가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 했을 때 그 상황들의 감정에 대해 동의가 됐어요. 단지 노인의 감정을 이해한다기보단 이 정도의 일을 겪은 사람의 감정을 많이 느꼈나 봐요. 원래 한 작품이 끝나고 캐릭터와 이별하는 과정에서 우울함이나 외로움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적요의 측은한 면이 아직 깊게 배어 있는 것 같아요.”
지난 해 흥행성과 작품성을 인정받은 <최종병기 활>이 박해일의 필모그래피 가운데 가장 동적인 영화였다면 <은교>는 가장 정적인 영화일 것이다. 박해일에게 <은교>는 여러 모로 새로운 작품이었다. 나이에 비해서 어려 보이는 외모를 지닌 박해일은 단 한번도 자신의 나이 이상의 역할을 맡은 적이 없었다. 또한 다혈질의 성격을 지닌 성격파 캐릭터들을 연기해온 그가 절제라는 단어로 설명해야 할 내밀한 인물로 분한 것도 보기 드문 일이다. “절제되는 인물의 매력이 굉장히 큰 걸 알았어요. 더 설명하려 하거나 더 표현해보려 하거나, 능동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부분도 있겠지만 안에서 계속 꿈틀대는 걸 최대한 절제하는 것도 매력적이라는 걸 알았어요. 이번 경험은 큰 자산이 될 것 같습니다.” 매번 촬영에 들어갈 때마다 8시간의 특수분장을 인내해야 했던 그는 ‘참을 인’ 자를 마음에 새겼다. 덕분에 ‘생각할 시간이 많았다’는 그는 70대 노시인을 연기하면서 늙어간다는 것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했다. “각자 본인 나이와 상관 없이 저마다의 삶은 그들 각자에게 의미가 있어야 해요. 어느 누구를 위해서 산다는 게 오히려 누군가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매번 작품을 끝내고 나면 책꽂이에 책 한 권을 꽂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박해일은 언제나 그러하듯이 일상으로 사라질 것이다. 마치 없었던 사람처럼, 고요하고 안정적인 정적 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