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 vs 에이리언>(이하, <몬스터>)을 선택한 이유가 궁금하다. 일단 캐릭터가 아니라 스토리를 보고 영화를 선택했다. 스토리가 마음에 들면 캐릭터는 자신의 방향에 맞게 만들어가면 된다. 특히 <몬스터>같은 경우 젊은이들에게 남과 다르다는 건 나쁜 점이 아니라 오히려 큰 자산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마음에 들었다. 예를 들면 ‘거대렐라’는 굉장히 크다는 게 콤플렉스지만 오히려 그것을 통해 친구들도 구하고, 지구도 구한다. 목소리 연기는 캐릭터를 내 몸에서 벗어나 목소리만으로 연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꼈다. <24>를 찍던 중에 <몬스터>를 했기 때문에 주중에 14시간은 잭 바우어를 연기하고, 주말 5시간은 워 딜러를 연기했기 때문에 균형이 잘 맞았다. <몬스터>는 5살로 돌아가는 것처럼 재미있는 기분을 느꼈다.
캐릭터를 연기하는데 있어서 주안점을 둔 부분은?
캐릭터를 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창조하는 과정이 있었다. 그게 애니메이션의 좋은 점이기도 하다. 내가 예전에 봤던 <벅스 바니>만화 캐릭터의 목소리가 워 딜러 장군과 어느 정도 비슷한 느낌을 얻었다. 그걸 기반으로 좀 더 발전시켜서 워 딜러 장군에 맞는 목소리를 만들었다.
<몬스터> 이전에도 애니메이션에서 목소리 연기를 펼친 적이 있다. 그 밖에도 게임이나 다큐멘터리 내레이션을 맡았던 적이 있다. <24>를 비롯해 그 동안 액션 연기를 많이 했다. 그런 당신에게 목소리 연기가 주는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
다큐멘터리 내레이션은 자신을 그대로 드러내는 작업이지만 <몬스터>를 비롯한 애니메이션은 새로운 캐릭터에 맞게 창조를 하는 작업이다. 낮과 밤, 아니면 오렌지와 사과처럼 목소리 연기와 몸으로 하는 연기는 완전히 다른 영역이다. 일단 애니메이션은 내 몸을 생각하지 않고 감정이나 목소리만으로 연기를 한다는 면에 있어서 훨씬 자유롭다.
3D영상기술은 차세대 영상매체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 안에선 가상의 3D인물이 진짜 배우처럼 연기한다. 배우로서 이를 지켜보는 느낌이 어떤가?
3D애니메이션은 굉장히 유망한 기술이며 당연히 장차 차세대 매체로 활용될 거다. 스티븐 스필버그나 제임스 카메론 같은 유명한 감독들도 이에 동의하는 것으로 안다. 이는 관객들을 영화자체에 빠져들게 할 수 있다. 내가 봤던 50년대, 60년대 3D와는 완전히 차원이 다르다. 물론 기술 자체만이 중요한 게 아니라 기술이 어떻게 쓰이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간담회에서 한예슬 씨와 친근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그녀의 첫인상이 어땠나?
일단 목소리 톤이 리즈 위더스푼과 굉장히 비슷해서 깜짝 놀랐다. 드림웍스의 CEO인 제프리 카젠버그는 47개의 언어로 출시되는 <몬스터>가 제각각의 버전에서 제대로 표현되는지 관심이 많고 그만큼 목소리에 민감했다. 그런데 한예슬 씨 목소리를 듣더니 굉장히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나도 오늘 아침에 처음 봤는데 여성스럽고 사랑스럽게 웃더라.
<24> 시즌7이 조만간 한국에서 공개된다. 시즌7에서 주목할만한 점이 있나?
메시지는 관객들이 픽업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특별히 어느 부분을 봐달라고 말할 수 있는 건 없을 것 같다. 다만 시즌7에서는 잭 바우어가 지난 삶에 대해서 많은 성찰을 한다. 한국에서도 공개된다니 기대가 된다.
오랫동안 잭바우어를 연기하고 있는데 그런 캐릭터와 함께 늙어간다는 건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
잭 바우어는 계속 진행되는 캐릭터다. 시즌1에 나오는 잭 바우어와 시즌7에 나오는 잭 바우어는 완전히 다르다. 잭 바우어는 굉장히 큰 대가를 치르면서 많은 일을 해나간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변화하는 것처럼 캐릭터도 함께 보완되는 것을 느낀다. 그런 점에서 잭 바우어를 연기하는 동안 배운 바가 많다. 지금도 굉장히 즐기면서 하고 있다. 다만 개인적으로 잭 바우어의 이미지를 나와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24>가 한국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자신의 작품이 여러 나라에서 많은 인기를 누린다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24>는 아시아권만 아니라 아프리카에서도 인기가 많다. <24>가 국경과 언어와 문화의 경계성을 초월하는 작품이란 생각이 들고 관객들이 캐릭터에 대해서 그만큼 동감하는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 자랑스럽다.
우주에서 날아온 정체불명의 운석이 한 여자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놓는다. 결혼식 날 거인이 된 수잔(리즈 위더스푼, 한예슬)은 미국 정부가 비밀리에 운영하는 지하기지에서 선배(?) 몬스터들과 함께 ‘거대렐라’라는 이름으로 명명된 채 격리된다. 그러던 어느 날, 외계로부터 정체불명의 거대로봇이 또 미국 땅에 떨어져(!) 무차별 공격을 감행한다. 전군이 동원됐지만 거대로봇에게 맞서긴 역부족이다. 결국 비밀리에 격리돼있던 몬스터들이 출격한다. ‘거대렐라’가 된 수잔과 함께 미씽 링크와 닥터 로치, 밥은 작전에 성공하면 자유로운 신분을 주겠다는 워 딜러 장군(키퍼 서덜랜드)의 약속과 함께 거대로봇을 제압하기 위해 세상으로 나온다.
간단한 줄거리만으로 보자면 박진감 넘치는 SF액션물의 외피가 예상돼지만 <몬스터 vs 에어리언>(이하, <몬스터>)은 나사 빠진 캐릭터들의 우스꽝스러운 행위와 대사를 통해 유머로 발생시키는 스크루볼 코미디에 가깝다. 특히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이라는 혈통을 입증하듯 의인화된 몬스터 캐릭터들이 해학적인 위트를 구사한다. 스토리 라인 자체는 결과적으로 단조로운 것이 사실이다. 주지하는 정서적 감흥이 뻔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 하지만 그 식상한 스토리는 어떤 면에 있어서 <몬스터>의 야심에 어울리는 배경이다. 인간을 위협한다고 믿었던 몬스터들이 지구를 구하고, 되레 인간의 혐오를 극복하며 슈퍼히어로에 버금가는 존재로 변태되는 성장스토리엔 나름대로 제 크기에 걸맞은 의미가 있다. <몬스터>의 야심은 심오한 스토리텔링과 어울릴만한 것이 아니다. 스토리는 조연에 가깝다.
주연은 영상이미지다. ‘인트루 3D(Intru 3D)’라 지칭되는 3D영상기술을 통해 구현된 입체적 영상이 <몬스터>의 야심 그 자체다. 시각적 기술의 진일보를 통해 새로운 차세대 엔터테인먼트의 자극을 체험하고 만끽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단순한 이야기일수록 이미지는 단명해진다. 거대로봇과 맞서는 몬스터들의 에피소드는 거대한 사물의 등장을 통해 스케일을 넓히고 스펙터클을 확장하려는 기술적 성취의 전시적 욕망의 부산물에 가깝다. <몬스터>는 시각적 자극을 극대화시킨 3D영상의 엔터테인먼트적 자질이 어느 수준에 도달했는가를 알리는 현대의 지표란 점에서 일단 흥미롭다. 이미 역치의 수준이 실무율의 단계에 들어선 영상의 오락적 기능성을 대체할 입체영상의 현대적 지표가 어느 수준에 다다랐는가를 증명하는 기술적 성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몬스터>는 되레 자신의 야심과 다른 지점의 사실을 증명하는 영화 같다. 아무리 뛰어난 기술력을 담보로 한 혁신적인 이미지를 장착하고 있다 해도 그것이 어떤 수준 이상의 이야기와 함께 맞물리지 못한다면 영화적 만족도를 주지 못한다는 것. 뛰어난 효과는 뛰어난 영상의 기반이 되지만 그것이 영화의 전부가 될 수 없다. 창작적인 스토리를 기반으로 삼지 못한 이미지는 결국 영화로서의 가치에 도달할 수 없다. 때때로 웃음을 유발하는 캐릭터는 그 자체로 인상적인 매력이 있지만 그것 또한 <몬스터>를 권할 만큼 강력한 매력이라 정의 내리기도 쉽지 않다. <몬스터>는 창작과 기술의 조합에 있어서 과도기적인 작품이다.
우주에서 날아온 정체불명의 운석은 한 여자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버린다. 거인이 된 수잔(리즈 위더스푼, 한예슬)은 미국 정부가 비밀리에 운영하는 지하기지에 격리된 채 ‘거대렐라’라 불리며 선배(?) 몬스터들과 조우한다. 그러던 어느 날, 역시나 외계에서 날아온 정체불명의 거대로봇이 또 미국 땅에 떨어져(!) 무차별 공격을 감행한다. 이에 맞서기 위해 비밀리에 격리돼있던 몬스터들이 출격한다. 간단한 줄거리만으로 보자면 박진감 넘치는 SF액션물의 외피가 예상돼지만 <몬스터 vs 에어리언>(이하, <몬스터>)은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이라는 혈통을 입증하듯 나사 빠진 캐릭터들의 행위와 대사를 통해 위트를 유발하는 해학적 작품이다.
주지하는 정서적 감흥이 뻔한 수준을 맴돌지만 단순하다고 폄하할 수 있는 수준의 스토리까진 아니다. 인간을 위협한다고 믿었던 몬스터들이 지구를 구하고, 되레 인간의 혐오를 극복하며 슈퍼히어로에 버금가는 존재로 변태되는 성장스토리엔 나름대로 제 크기에 걸맞은 의미가 있다. 다만 <몬스터 vs 에어리언>(이하, <몬스터>)은 그보다 다른 의도가 명확한 작품이다. 스토리는 조연에 가깝다. 주연은 ‘인트루 3D(Intru 3D)’라 지칭되는 3D영상구현기술을 통한 시각적 자극의 진일보를 체험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것은 엔터테인먼트에 가까운 속성이다. <몬스터>는 시각적 자극을 극대화시킨 3D영상의 엔터테인먼트적 자질이 어느 수준에 도달했는가를 알리는 현대의 지표란 점에서 흥미롭다. 다만 그 자극이 뛰어난 창작력을 기반으로 삼지 못했을 때 지속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 같다. 때때로 블랙코미디적인 웃음을 유발하는 캐릭터들이 귀엽지만 그것이 이 영화를 권할 만큼 강력한 매력이라 정의 내리긴 쉽지 않다. 기술도 과도기지만 이야기 수준도 과도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