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에 관한 말들은 끊임없이 이어진다. 그 말엔 대부분 실체가 없다. 그저 떠돌 뿐이다. 그 사이에서 스타가 산다. 말을 타고 건너면서도 빛을 지켜야 한다.
사람들은 고개를 들고 별은 본다. 별이 빛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고개를 내밀고 스타를 본다. 스타란 빛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예쁘고 멋진 건 자꾸 보고 싶기 마련이다. 그리고 별과 달리 스타란 보다 가까운 존재다. 가까운 곳에서 반짝이는 그들을 더욱 가깝게 들여다보고 싶다는 욕망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러니 말이 많은 것도 당연하다. 그 일상이, 그 일상에 대한 말조차도 팔리는 상품이 되기 때문이다. 근거 없는 말이 유통되는 것도 그래서다. A가 B랑 그렇고 그런 사이라더라. C가 여자를 엄청 밝힌다던데? D가 사실 결혼도 하고, 임신도 했다던데! 얄리얄리얄라셩 얄라리얄라! 숱한 루머가 전국 팔도 각지를 돌고 도는 와중에 개중의 몇 가지는 진실로 판명된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날까. 확실해진 몇 가지 진실이 불확실한 다수의 루머를 압도한다. ‘카더라 통신’이 예언의 서로 등극한다.
여기서 한 가지 질문. 스타가 과연 공인인가? 혹자는 말한다. 대중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만큼 그들을 공인이라 여겨야 한다고. 그 범위가 크건 작건 모든 일은 세상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기자가 기사를 써서 세상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면 그 기자는 공인인가. 혹은 방송에 나온 누군가가 일회적으로 대중적인 파급력을 행사했다면 그는 공인이란 말인가. 공인의 사전적 정의는 ‘공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다. 공적인 일이란 공공의 업무를 대신해서 수행하는 일에 가깝다. 정치나 행정이 그렇다. 스타라는 직업이 봉사가 아니듯 대중의 관심 또한 기부가 아니다. 스타라는 상품성에 대한 지불이다. 정당한 등가교환이다. 스타로서의 영향력에 공인이란 탈을 씌우는 건 결국 불공정거래라는 말이다.
스타들에 관한 말들은 대부분 막연한 동경이나 순수한 관심을 넘어서 대부분 지나친 관음이거나 무분별한 사생활 침해로 발전하며 때때로 폭력성을 띤다. 밑도 끝도 없는 루머나 풍문에 시달렸던 셀레브리티가 나락으로 떨어졌던 삶을 고백한다거나 스스로 세상을 등진 톱배우의 주변인들로부터 그가 평소 악플에 시달리며 스트레스를 받아왔다는 증언을 듣게 될 때, 우린 그 화려한 삶에 깃든 명암을 정면으로 응시하게 된다. 하지만 대중은 그들의 삶을 긍휼히 여길 수 없다. 그 삶이 너무나 풍요로워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자리에선 마땅히 감내해야 할 운명처럼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스타는 스스로 빛나는 존재가 아니다. 관심을 먹고 빛을 발하는 존재다. 어떤 형태로든 대중의 관심이 스타의 지위를 가늠하게 만드는 바로미터가 된다. 오죽하면 무플보단 악플이 낫다. 필연적으로 말 가운데에서 살아가야 한다.
그 말 가운데에서 살아가는 스타로선 삶에 드리운 그림자를 밟고 살아갈 각오를 해야 한다. 자신의 사생활조차도 상품이 되는 현실을 인정해야만 한다. 자리값을 지불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그게 그 자리에서 생존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다수의 주목을 받고 다수의 관심을 끌어들인다는 건 그만큼 다수의 입에 오르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그 입에서 나오는 말은 진짜일 수도 있고, 가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 말들이 가짜라고 변호하거나 진짜를 덮으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 대중에게 중요한 건 그 말의 실체가 아닐지도 모른다. 단지 그런 이야깃거리가 있다는 사실이다. 대중은 진위를 불확실한 말을 끊임없이 유통한다. 그리고 누군가는 그렇게 돌고 도는 말들을 주워다가 팔아먹고 시간을 때운다.
스타들을 다루는 언론 매체들조차도 사실상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아류가 되는 시대다. 기이하게도 국내에선 기자라고 명함을 판 사진기자가 파파라치 컷을 찍고 소속 매체에서 보도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일부 스포츠 일간지에서 시작된 일이 파파라치 컷을 전문적으로 찍고 배포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창궐 아니 창간에 이르렀다. 최근 그 사이트는 기사를 통해서 한 톱배우에게 으름장을 놓고 있다. 톱배우는 그 사이트에서 찍은 파파라치 컷으로 오해가 발생했다고 밝혔고 그 사이트에선 그 톱배우가 자신들의 명성에 먹칠을 하고 있으며 그가 거짓말을 늘어놓을 경우 자신들의 배려로 공개하지 않았던 사진을 공개할 수도 있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흥미로운 건 그들이 그 톱배우 역시 ‘근거 없는 ‘찌라시’의 피해자’라고 두둔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 두둔보다도 흥미로운 건 ‘찌라시’라는 단어와 자신들을 격리시키는 그들만의 철학과 기준이지만.
“사람들이 널 사랑하게 만들지마. 그럼 거기가 끝이야. 사람들이 널 끝없이 동경하게 만들어. 그게 스타야.” 드라마 <온에어>의 대사처럼 스타는 자신을 위장하며 살아야 한다. 원하든 원치 않았든 흉하고 보기 싫은 언어들 속으로도 몸을 숨길 수 있어야 한다. 그 말에 섞이는 순간 많은 것을 해명하거나 드러내 보여야 한다. 사생활조차도 계산대에 오른다는 걸 아는 순간부터 진정한 자신을 지워야 한다. 가진 게 많아서 부러울 것 같은 삶에 빈곤한 일상이 드리울지라도 그 빈곤한 일상조차 구원할 수 있는 건 그 일상조차 진실과 거짓 사이에 끼워 넣는 일이다. 설사 그것이 진실이라 해도 소문의 일부로 위장하면 된다. 그렇게 진짜 자신의 모습까지도 거짓의 보호색으로 위장하고, 그저 떠도는 말 사이에 숨어서 스스로를 보존하면 된다. 그렇게 완전한 거짓의 보호색을 띄고 스타는 살아간다. 혹은 살아가야 한다. 대중들이 스타라는 환상을 끝까지 소비하도록. 혹은 스타가 군자처럼 살아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자연인으로서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다면 모를까. 스무 살 넘은 성인이 클럽에서 만난 이성과 원나잇 스탠드를 즐길 수도 있는 거 아닌가. 물론 법의 기준에서 벗어나는 일만 없다면 말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