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소설과 달리 영화는 가상적인 설정을 통해 삼국지를 재편한다. 애초에 원명 교체기에 집필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가 진나라 진수의 ‘삼국지 정사’를 토대로 민간구전을 덧씌운 문학적 가공을 거쳐 완성됐다는 점에서 이를 원형으로 하는 현대의 ‘삼국지’ 역시 많은 부분을 과장된 허구에 기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비의 도원결의로부터 시작되는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후한 혈통을 계승한 유비가 건립한 촉한을 노골적으로 두둔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도 하며 이런 지적도 적지 않다. <삼국지: 용의 부활>에서 묘사되는 조자룡의 전투의 원형인 '삼국지연의'의 기록을 소개한다.
영화가 조자룡을 처음에 유비군의 일개 병졸 취급하는 것과 달리 조자룡은 이미 공손찬의 휘하에 있을 당시부터 유비와 인연을 맺었고, 언젠가 뜻을 같이 하자는 약조도 나눈다. 결국 후에 공손찬이 원소에게 패망한 뒤, 조자룡은 유비의 휘하에 들어가고 이는 유비가 삼고초려 끝에 제갈공명을 얻는 것보다도 이른 지점이다. 또한 그 이전에 박망파 전투에서 제갈공명이 하후돈을 유인하는 계책에서 중책을 맡길 정도로 조자룡은 공명의 신임을 얻고 있었다. 그러므로 영화에서 조자룡이 공명의 얼굴도 알지 못한다거나 자신이 아두를 구하겠다며 유비 앞에 무명의 장졸로 등장하는 건 영화만의 설정이라 할 수 있다. 조조의 80만 대군에 쫓겨 신야성을 버리고 강릉으로 향하던 유비는 장판파에 이르러 조조의 군대에 가로막혀 고전하고 가까스로 경산으로 피한 유비와 달리 그의 두 아내 감부인과 미부인, 그리고 아들 아두는 고립된다. 유비 가족의 호위를 맡았으나 적들과의 교전 사이에서 결국 그들을 놓친 조운은 30여기의 부하를 이끌고 적진을 헤매다 감부인을 찾아 구출해온 뒤, 다시 장판파로 향한다. 결국 미부인과 아두를 찾았지만 미부인은 상처입은 자신을 이끌고 가면 조운이 힘들어질 것을 알고 우물로 뛰어든다. 결국 조운은 갑옷을 끌러 가슴에 아두를 안고 장판파에서 조조의 80만 대군-실제 정사에서는 5천 정도로 기록됨-을 단신으로 뚫고 간다. 한편, 이를 지켜보던 조조가 조홍에게 급히 물었다. ‘저기 무인지경(無人之境)을 가듯 칼을 휘두르고 달리는 장수가 누구인가?’ 조홍은 조조와 함께 전황을 내려다보던 경산 아래로 내려가 목소리를 높여서 ‘장군! 성함이 어찌되시오?’ 라고 묻자 검을 높게 빼든 그 장수가 외쳤다. ‘나는 상산 조자룡이다! 그대도 내 앞길을 막으려는가?’ 이윽고 조홍이 다시 경산에 올라 조조에게 보고하자 조조는 무릎을 치며 기뻐했다. ‘저 자가 조자룡이구나! 저런 용장이 우리 진에 있다면 천하를 얻지 못해도 한이 없겠다!’ 그리하여 조조는 장수가 상하지 않게 각 진에 활을 쏘지 못하게 명하고 사냥하듯 조운을 몰아 생포하려 했지만 유비의 아들인 아두를 품에 안은 조운은 결국 필사적인 결의로 포위망을 뚫고 장판교를 지키던 연인 장비에게 뒤를 맡기고 유비에게 달려간다. 그리고 그 뒤로 조운을 쫓던 조조의 군대는 장판파에서 버티는 장비의 위엄에 눌리고 결국 그의 뒤 수풀 속에서 움직이는 기병의 모습에 후퇴를 감행한다. 하지만 이는 불과 20여기에 불과한 기병이 수풀 뒤에 숨어서 오간 것에 불과했다. 이 싸움에서 조운은 조조가 총애하는 하후돈의 동생 하후은을 죽이고 그에게 조조가 하사한 보검인 청강검을 얻게 된다. 그리고 이후, 유비는 결국 오나라로 넘어가 손권에게 의탁하고 이는 그 유명한 적벽대전으로 이어진다.
조영이라는 조조의 손녀를 가상인물로 내세우며 조자룡의 비범한 최후를 그리는 <용의 부활>과 달리 ‘삼국지연의’에서 조자룡은 전사하지 않았다. 조자룡의 비범한 최후를 그린 <용의 부활>의 후반부는 유비의 사후, 유선-조자룡이 두 번에 걸쳐 구한 아두-이 촉의 황제에 오른 뒤, 그 유명한 출사표를 던지며 단행했던 제갈공명의 북벌을 배경으로 한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북벌군을 편성할 당시 제갈공명은 조자룡의 나이를 염두에 두어 그에게 임무를 맡기지 않았다. 하지만 촉의 오호장군 중 유일하게 살아남아 제갈공명과 함께 남만정벌에 큰 공을 세우기도 했던 조자룡은 출전을 요청하고 공명도 그의 뜻을 받아들여 등지를 부장에 두고 5천 군사를 주어 그에게 선봉의 임무를 맡긴다. 이에 위의 대장을 맡은 하후무는 자신의 네 아들과 함께 한덕을 선봉으로 삼아 조자룡에 맞서게 했다. 하지만 결국 영화에서와 같이 한덕의 네 아들은 조자룡에 의해 제압당했는데 영화와 달리 둘째인 한요는 사로잡았고, 나머지 세 아들인 한영, 한경, 한기는 모두 조자룡에 의해 죽음을 면치 못했다. 또한 한덕 역시 하후무의 질책에 부끄럼을 참지 못하고 조자룡과 교합을 벌이지만 결국 그도 창에 찔려 죽었다. 한편, 그 뒤로 봉명산에 진을 친 하후무의 참군 정욱의 아들 정무가 세운 계책에 빠진 조자룡은 위군의 매복군에 둘러싸여 고립되는 위기에 처했지만 관우와 장비의 아들인 관흥과 장포로부터 구출되었고, 그 뒤로 전투에 앞장서며 혁혁한 공을 세우다 후에 공명의 명을 어긴 마속으로 인해 중요한 고지였던 가정(街亭)을 위의 사마의에게 뺏긴 후, 결국 공명은 한중으로 귀환했다. 이때 조자룡은 마지막까지 후방을 사수했으며 후에 제갈공명이 직접 이 공을 치하했다. 또한 그 후, 명을 어긴 마속을 문책한 공명이 결국 그를 처형하라 명한 뒤, 통곡했으며 이는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그 후, 한중에서 북벌을 위해 공명이 군대를 조직하는 중에 조자룡은 천수를 다했고, 그가 죽던 날 공명의 집 앞뜰 소나무 가지가 부러졌다고 한다. 그 후로 북벌을 거듭하는 공명과 그에 맞서는 사마의의 전투가 거듭된다. 한편, 1차 북벌 당시 공명은 마속을 잃은 대신 강유를 얻었으며 강유는 훗날 공명의 뒤를 잇는다.
(무비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