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 단평

cinemania 2012. 2. 23. 00:10

미야베 미유키의 <화차>는 신용이라는 이름으로 개인의 파산을 방조하는 사회의 방치 속에서 파멸하고 유령이 되어버린 어느 개인이 위장을 통해서 삶을 갱신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끝내 괴물이 되어버린 것을 발견하게 되는 미스터리 추리물이다. 이는 단지 일본 내의 문제가 아닌 자본주의 신용 사회로 접어든 한국의 문제이기도 한데, 변영주 감독의 <화차>는 이에 대한 서술을 간결하게 다듬고 미스터리 추리물이라는 장르적 밀도를 높이는데 각색을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캐릭터 설정과 관계에 작은 변주를 가하지만 전반적으로 원작도 살고, 영화도 사는 인상이다. 자욱한 미스터리의 지배력이 느껴지는 가운데, 결말부에 다다라 보다 강도 높은 서스펜스의 정곡을 찔러 넣고 끝내 페이소스의 잔해를 드러낸다. 과감한 각색과 심도 있는 연출이 돋보인다. 끔찍하고, 처참하며, 처연하다.

 

(무비스트)

Posted by 민용준
,

소년은 세상에 관심이 없었다. 세상 또한 소년에게 관심이 없었기에. 소년은 어려서부터 가난했고, 엄마가 없었다. 어느덧 열여덟 살의 고등학생으로 성장한 소년은 가난과 소외에 익숙해진 지 오래다. 하지만 어느 날, 그 가난하고 소외된 소년을 향한 세상의 관심이 시작됐다. 완득(유아인)의 담임선생인 동주(김윤석)의 짧은 언어로. “얌마, 도완득!” 하지만 갑작스러운 관심이 완득은 귀찮기만 하다. 하지만 같은 동네, 그것도 심지어 건너편 옥탑방에 사는 담탱이는 퇴교 후에도 완득의 주변에서 그를 귀찮게만 한다. 그래서 완득은 기도한다. “제발 똥주 좀 죽여주세요.” 하지만 그 교회에서도 완득은 듣는다. 자신의 호를 지어준 담임선생 동주의 부름을. “얌마, 도완득!”

Posted by 민용준
,

미나토 가나에의 추리소설 <고백>은 아이를 잃게 된 미혼모 선생 유코가 학생들이 모인 교실의 종업식 자리에서 밝히는 충격적 고백을 통해 시작되는 이야기다. 독백에 가깝게 느껴질 정도로 일인칭 시점의 서술로 일관되는 소설의 구어체는 유코의 시점에서 출발해서 그녀의 고백 속 사건과 관련된 세 명의 학생과 한 명의 학부모의 시점을 갈아탄 뒤, 다시 유코의 시점으로 갈무리된다. 충격적인 진실을 담고 있는 내용에 비해 비교적 담담한 태도를 유지하는 소설의 화법은 사건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이성적으로 이해하고 해부하도록 유도한다. 동시에 단지 교훈적인 메시지에 접근하기 보다는 복수극이라는 장르적 목적에 충실한 결말이 인상적인 작품이다.

Posted by 민용준
,

풋풋한 아이들로 가득한 어느 교실의 풍경, 하나 같이 손에 우유를 들고 마시는 아이들에게서 활기가 넘친다. 하지만 시끄러운 소음으로 가득한 교실의 풍경은 어딘가 비정상적인 기질로 가득하다. 교탁 앞에서, 그리고 교실을 한 바퀴 도는, 아마도 담임선생님처럼 보이는 한 여인의 말이 학생들을 향하고 있음에도 마치 독백처럼 들리는, 그녀의 말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교실 속 아이들의 무관심한 소음은 그 자체만으로도 묘한 충격을 야기시킨다. 그러나 그녀의 한 마디가 아이들을 압도하기 시작한다. “내 딸을 죽인 사람은 우리 반에 있습니다.”

Posted by 민용준
,

최근 인터넷에 떠돌아다닌다는 모 중학교 졸업식 뒤풀이 사진을 봤다. 이를 건네 준 지인은 충격적이라 했다. 물론 충격적인 사건은 맞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딱히 그것이 비정상적인 일은 아니라 생각했다. 요즘 같은 시대에서 그런 일이 벌어졌다는 게 딱히 놀랍지 않다는 말이다. 아이들은 어른을 보고 자란다. 그리고 그 아이들이 보고 배우는 팔 할의 과정은 학교에서 이뤄진다. 교육적 현실이 비참할 때, 아이들의 현실은 끔찍해지고, 결국 우리 사회가 처참한 꼴을 면치 못한다. 요즘 아이들이라서 그런 게 아니다. 요즘 우리네 현실이 그래서 그런 것뿐이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고금의 진리처럼, 어른들의 나쁜 짓을 아이들은 그리도 쉽게 잘 배울 뿐이다. 상식과 윤리를 가르치지 않는 세상에서 아이들은 보다 비상식적이고, 비윤리적인 행동을 매우 자연스럽게 해나갈 것이다. 고로 당신이나 나는 혀를 차며 손가락질할 자격이 없다. 적어도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어른이라면 이를 보고 기막혀 하기 보단 슬퍼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만큼 이 시대가, 이 사회가, 이처럼 슬프고 비참한 꼴로 돌아가는 것이다. 물론 이게 보편적인 정서는 아니겠지. 하지만 대부분의 병폐는 극단의 꼴로 드러나는 법이다. 우리 사회의 극단은 이미 갈 때까지 가고 있다. 그것이 당신과 무관하다고 생각할 때 이는 보다 처참해질 것이다. 당신과 무관하다 믿었던 그 사실이 언젠가 당신의 아들과 딸의 현실이 되어 그 처참한 상황을 직접 마주하고 싶지 않다면 보다 현명해져야 할 것이다. 어른들이 아이들을 망치고 있다. 부정할 수 있겠나?

'도화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렌체에 대한 단상  (0) 2010.03.31
목소리만 크면 해설하겠다.  (0) 2010.02.21
한 해가 갔다.  (0) 2010.01.01
편두통  (2) 2009.12.26
마감  (0) 2009.12.10
Posted by 민용준
,

어느 한가한 오후, 아내가 정성껏 차린 저녁식사를 기다리며 어린 딸과 정겨운 대화를 나누던 클라이드(제라드 버틀러)의 집에 두 명의 괴한이 침입한다. 그들에게 린치를 당한 클라이드는 가까스로 죽음의 고비를 넘기지만 무기력하게 지켜봐야 했던 아내와 딸의 죽음을 잊을 길이 없다. 범인들은 경찰에 의해 검거됐지만 충분한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검찰은 자신의 동료에게 불리한 증언을 하겠다는 한 명의 제안을 받아들여 그의 처벌을 방임한다. 담당검사 닉(제이미 폭스)의 설명을 듣게 된 클라이드는 망연자실하고, 법정의 무죄선고에 굳은 표정으로 법정으로부터 뒤돌아 선다.

'cineman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우치> 단평  (0) 2009.12.18
<아바타> 단평  (0) 2009.12.11
<뉴문>견디느냐, 못 견디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0) 2009.12.02
<뉴 문> 단평  (0) 2009.12.01
<엘라의 계곡>그 땅엔 괴물이 자란다.  (0) 2009.12.01
Posted by 민용준
,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순재 인터뷰  (0) 2009.07.30
PIXAR Ronnie Del Carmen & 조예원 인터뷰  (2) 2009.07.30
백진희 인터뷰  (4) 2009.07.02
오연서, 장경아, 손은서, 송민정, 유신애 인터뷰  (0) 2009.06.28
견미리 인터뷰  (0) 2009.06.23
Posted by 민용준
,

유준상 인터뷰

interview 2009. 6. 12. 20:32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연서, 장경아, 손은서, 송민정, 유신애 인터뷰  (0) 2009.06.28
견미리 인터뷰  (0) 2009.06.23
김혜자 인터뷰  (2) 2009.06.01
이해준 감독 인터뷰  (0) 2009.05.28
김태우 인터뷰  (0) 2009.05.19
Posted by 민용준
,

불법체류자 신분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적의를 드러내는 동네 주민들은 대한민국 사회의 고질적 단면이다. 대한민국 남자들의 무능력한 마초이즘은 때때로 자신의 영토를 침입한 이방인들에 대한 공격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로니를 찾아서>는 어느 치졸한 마초의 체험을 통해 적나라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동시에 극적 재미를 진전시키는 영화다. 인호(유준상)가 뚜힌(로빈 쉐이크)과 함께 로니(마붑 알엄 펄럽)를 찾아 나서는 과정을 그린 영화는 버디무비와 로드무비의 조합을 이룬 휴먼드라마에 가깝다. 사회적 시선을 견지한 극적 연출이 인상적이다. 다만 문제의식을 발견할 뿐 어떤 결론을 주장하지 않는다. 단지 남자의 변화를 관찰할 뿐이다. 인호의 변화는 결국 한국남자들, 더 넓게는 한국사람들의 가능한 변화를 설득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어떤 정치적 주장보다도 설득력 있는 사연이 귀엽고 즐겁게 전달된다. 물론 인호가 로니를 찾아가는 여정은 일면 무모한 희망처럼 보이고 목적성도 흐릿하다. 하지만 그 여정을 지켜본다는 건 그 무모한 희망에 동참하는 행위나 다름없다. <로니를 찾아서>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건 바로 그 지점에 있다. 동시에 한국어에 유창한 불법체류자 외국인들의 모습은 기이한 구경거리처럼 보인다.

Posted by 민용준
,

총을 맞고 사망한 부랑자 시신이 발견된 이튿날, 하원의원 스티븐 콜린스(벤 애플렉)의 여비서가 지하철역에서 추락해 사망했다. 이 덕분에 스티븐과 여비서의 섹스 스캔들이 불거지고 무기회사를 상대로 한 청문회에서 공격적인 질문을 던지던 스티븐의 발언권이 상실될 처지에 놓인다. 하루 차이로 발생한 두 죽음은 그저 동떨어진 두 개의 점처럼 접점이 없는 개별적 사건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를 취재하던 보스톤 글로브의 기자이자 스티븐의 친구인 칼 매카프리(러셀 크로우)는 두 사건을 연결하는 단서를 발견한다. 연결고리가 없는 두 사실을 관통하는 진실이 직감된다.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이하, <플레이>)는 거대한 음모를 추적하는 기자의 이야기다.

 

뛰어난 취재력을 자랑하는 베테랑 기자 칼 매카프리와 혈기왕성한 신예 여기자 델리 프라이(레이첼 맥아담스)는 진실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사건의 취재를 밟아나간다. 진실에 접근하기 위한 노크가 번번히 무산되거나 박대 당하는 와중에도 진실을 향해 접근해가는 취재과정이 호기롭게 묘사된다. 때때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까지 연출되며 스릴러적 긴장감을 더한다. <플레이>는 스릴러적 구조를 통해 긴장감을 끌어당기는 동시에 전문직 드라마로서의 지적인 묘미를 더한다. 영화의 중추는 분명 거대한 집단의 이기에 대항하는 개인의 윤리적 저항을 곧잘 이야기하는 토니 길로이의 각본이다. 음모론에 갇힌 진실이 제 모습을 드러냈다고 믿어지는 결말 직전, 영화는 진실의 맹점을 자각하고 왜곡된 진실의 남은 한 꺼풀마저 벗겨내며 논의를 한 차원 더 발전시킨다. 진실을 추구하는 건 정의를 위해서지만 정의에 대한 집념은 때로 진실을 향한 시야를 가린다. 기자는 자신이 작성한 기사를 송고하기 직전까지 진실에 대한 의심의 끈을 놓쳐선 안 된다. 정의라고 믿어지는 부분조차도 의심해야 한다. <플레이>는 거대한 자본의 알력과 권력의 위협에 대항해 사선을 넘어서까지 결백한 진실을 얻어내려는 기자의 직업윤리를 흥미롭게 그려낸다. 찌라시가 득세하고 가십이 넘쳐나는 시대에 완전한 진실을 향해 부지런히 발품을 파는 기자의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경종을 울린다.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