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팀 버튼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010)에서 하얀 여왕으로 등장한 앤 해서웨이의 첫 출연작이자 첫 주연작은 <프린세스 다이어리>(2001)였다. 하루 아침에 공주가 된 소녀의 사연처럼 해서웨이도 하루 아침에 아이돌 스타가 됐다. 하지만 그녀는 아이돌 스타라는 성을 박차고 나갔다. 퇴폐적인 이미지로 누드신과 베드신을 감행한 <하복>(2005)은 일종의 전환점이었다. 메릴 스트립과 함께 한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2006)로 성공적인 경력을 더한 뒤, 제인 오스틴을 연기한 <비커밍 제인>(2007)으로 우아한 기품을 뽐냈다. 진중한 내면 연기를 펼친 <레이첼, 결혼하다>(2008)는 그녀에게 오스카 노미네이트의 영광까지 안겼다. 최근 필름익스피어리언스는 내년 오스카 노미네이트 후보 예상 리스트에 <Love and Other Drugs>(2010)의 해서웨이를 포함시켰다. 그녀는 할리우드에서 가장 주목 받는 여배우로 자랐다. 마치 공주가 여왕으로 성장하는 것처럼.

 

(beyond 6월호 Vol.45 'TAKE ONE MOVIE')

Posted by 민용준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영국의 수학자인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이 루이스 캐럴이란 필명을 앞세워 1965년에 발표한 동화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식의 흐름을 통해 진전되는 서사와 비상식적인 묘사가 동원된 이 작품은 비논리적인 기괴한 설정들이 도처에 난무함에도 직관적인 상상력과 천진난만한 감성을 동반하며 그 세계관에 대한 호기심을 당긴다. 동명의 제목 그대로 팀 버튼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루이스 캐럴이 창조한 그 기이한 세계관을 연상시키는 작품이. 하지만 팀 버튼 루이스 캐럴이 손으로 써내려 간 세계를 영상으로 치환하려는 노력에 관심이 없었던 것 같다. 팀 버튼이 참고한 건 비단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뿐만이 아니다. 또 한번 앨리스를 통해 특별한 모험담을 그려낸 루이스 캐롤의거울 나라의 앨리스 역시 팀 버튼의 세계로 편입됐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루이스 캐롤이 아니라 그 결과물이 온전히 팀 버튼의 것이란 점이다.

 

 

Posted by 민용준
,

<레이첼, 결혼하다>는 다큐의 눈을 빌린 드라마다. 진동하는 핸드헬드와 거친 입자가 부유하는 캠버전 영상은 영화의 정서를 관통하기까지의 추이적 변화를 끌어내기 위한 실험적 기제처럼 보인다. 카메라 너머의 인물들은 심기적 불안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그 근본을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언니인 레이첼(로즈마리 드윗)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재활원에서 집으로 돌아온 킴(앤 헤서웨이)은 대사를 앞둔 집안의 공기를 불안정하게 덥힌다. 킴과 가족 사이엔 보이지 않는 장벽이 있다. 그 장벽을 부수기 위한 갈등은 불가피하다. 서로에 대한 증오가 담긴 거친 언어가 쏟아진다. 상대의 상처를 건드리기도 하지만 자신의 상흔을 드러내 보이기도 한다. 반목 속에서 가족은 서로의 상처를 확인한다. 애증의 장벽이 무너지고 혈연이라는 구속에서 자유로워진다. 존재만으로 폭력처럼 행사되던 가족이란 속박이 서로를 위한 배려로 거듭난다. 3일 간의 서사 속에서 가족은 오랜 과거의 허물에서 벗어나 서로를 끌어안고 다시 각자의 자리로 돌아선다. <레이첼, 결혼하다>의 카메라는 그저 그 과정을 지켜볼 따름이다. 단지 바라본다는 것만으로도 의미를 전달하는데 성공한다. 또한 앤 헤서웨이의 놀라운 연기는 그 의미를 돈독히 다지는 강력한 지원군이다.

 

(프리미어 'MOVIE 4人4色')


 

Posted by 민용준
,

적막한 스크린의 검은 여백 위로 제목이 등장하고, 등장인물을 명시하는 자막이 눈을 깜빡이듯 몇 차례에 걸쳐 뒤따라 나타나고 사라진다. 그러다 마치 감았다 뜬 눈 앞에 비춰지는 어떠한 것들을 대수롭지 않게 쫓아가듯 영화는 시작된다.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카메라 앵글과 숏을 채우는 인물간의 거리는 일정하되 두서가 없다. 3자의 곁눈질이거나 무심한 응시처럼 담담하되 시선을 거두지 않는다. <레이첼, 결혼하다>는 기록적인 다큐멘터리의 시야로 위장된 극영화다. 시종일관 무심한 태도로 응시하는 관점이 발견된다.

Posted by 민용준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의 비밀첩보국 컨트롤은 그의 정보분석에 전적으로 기대고 있다. 그는 비상함의 수준을 넘어 적의 심리까지 점검해주는 세심한 배려 덕분에 상관의 신임을 얻었지만 그로 인해 그는 자신이 간절히 고대하는 외근(?) 나설 없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외근직 첩보원이 되기 위해 78기를 다짐하는 남자, 맥스웰 스마트(스티브 카렐)에게 드디어 기회가 생겼다. 세계 각지에 투입된 첩보원들의 잇단 살해와 정체불명의 외부습격으로 위기를 맞이한 컨트롤이 그에게 현장근무를 명한 . 경력을 자랑하는 콧대 높은 에이전트 99( 헤서웨이) 그를 미더워하는 가운데 그들은 자신들의 미션을 완수하기 위해 동유럽 체첸으로 향한다.

1960
년대 동명 스파이물 TV시리즈를 리메이크한 < 스마트> 역설적인 웃음을 발생시키는 영화다. 유치한 상황을 진지한 태도로 모른 척하며 유머를 극대화시키고, 얼빠진 행위로 맞이한 위기 상황은 역시 상황에 걸맞지 않은 엉뚱한 대처로 극복된다. 첩보라는 특수한 상황을 웃음의 코드로 매개하는 < 스마트> 슬랩스틱의 동선과 스탠딩의 입담을 접목시키며 곳곳에 코믹한 설정을 너무나 뻔하게 설치하고 스스럼없이 작동시킨다. 진지한 마스크로 어리숙한 상황을 연출하는 스마트의 매력은 캐릭터 설정의 묘미에서 발생한 것이기도 하겠지만 그것이 스티브 카렐이란 배우의 장기에서 비롯된 것임을 부인할 없다. 상황과 역설적인 진지함을 유지하는 그의 포커페이스는 < 스마트> 웃음을 매개하고 촉매한다. 또한 8등신 S라인을 자랑하는 미모의 첩보원 에이전트 99 연기하는 헤서웨이 역시 역설적인 개그에 추임새를 넣으며 한몫 거든다. 이미지를 배반하는 배우들의 캐릭터 접근은 < 스마트> 웃음을 유발시키는 훌륭한 성과다.

<
스마트> 원작 TV시리즈의 틀을 이어받았으되, 현대적으로 각색된 것이다. 이는 작품의 시대적 거리가 무려 반세기만큼이나 너비를 탓에 있다. 핸드폰이 일상화되고, 컴퓨터가 일반화된 21세기 첨단 시대에서 1960년대 TV시리즈가 펼쳐내던 첨단의 상상력은 지나치게 낡은 것이 되어버렸다. 물론 오프닝의 자동문 시퀀스를 비롯해 방음장치(Corn of Silence) 에피소드와 오리지널 시리즈에서 등장했던 자동차와 구두폰까지, < 스마트>에는 원작의 특성을 대표할만한 설정들이 고스란히 장착됐다. 하지만 두드러지는 캐릭터의 특성변화는 원작과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자신의 이름과 반대로 '스마트'하지 않았던 원작의 스마트와 달리 영화의 스마트는 엉뚱하긴 하지만 나름 민첩하고 영리하다. 결국 원작에서 스마트의 뒤처리를 담당하며 조화를 이루던 뛰어난 요원 에이전트 99와의 캐릭터 조합은 애매한 모양새를 취한다. 또한 단순히 코믹한 설정의 배경처럼 따라붙는 악당 조직 카오스의 존재감 역시도 안이하게 묘사됨으로써 극적인 효과를 반감시키는 인상이다.

순간마다 웃음을 유발하는 순발력은 존재하지만 응집력 있는 폭발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 스마트> 단점이다. 웃음을 유발하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발견되지만 그것을 마음 편하게 받아들일 없다는 것도 아쉽다. 유치하지만 직설적인 슬랩스틱과 언어유희적 노력은 때때로 의도와 달리 지나치게 만연되어 되려 썰렁함을 낳는다. 이는 순간적인 설정을 중시했으나 전체적인 맥락이 지나치게 간과된 까닭이다. 물론 설정의 묘미가 < 스마트>에서는 중요했으며 이야기의 논리가 중시될 이유도 없었다. 게다가 국내관객을 배려한 자막은 상황보다 박자 먼저 치고 들어오는 까닭에 웃음의 타이밍을 어색하게 빼앗아간다. 미사여구의 목록은 화려한데 좀처럼 정곡을 찌르지 못하는 < 스마트> 유머는 결국 끝맛이 떨떠름한 웃음으로 거듭될 따름이다.


(씨네서울)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