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그대로 승필(이범수)의 실종을 통해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정승필 실종사건>에서 실종사건의 경위는 중요한 맥락이 아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그 실종사건의 인과관계를 유추하기 위한 장르적 영화가 아니라는 말이다. 이미 초반부에 정승필이 어떻게 실종됐는가를 명백하게 드러내는 <정승필 실종사건>은 그 실종사건으로부터 다단하게 뻗어나가는 예측불가의 상황을 장황하게 늘어뜨려가는 영화다

Posted by 민용준
,

해마다 올림픽에서 10개 이상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순위권을 자랑하는 스포츠 강국 대한민국의 현실은 실상 생존 레이스 위에서 착취당하는 열악한 비인기종목 선수들의 피땀 어린 노력에서 비롯된 결과물이다. <킹콩을 들다>는 대한민국이라는 좀스러운 현실을 담보로 둔 신파 기획물이다. 주연은 스포츠, 조연은 대한민국. 소박한 시골 소녀들의 표정을 통해 웃음과 눈물을 자아내는 신파로서의 구색이 명확하기도 하지만 촌스러운 한국적 배경을 활용하는 능력이 그만큼 효과적이라 말할 수 밖에 없다.

 

88서울올림픽에서 금메달 사냥에 실패한 역도 동메달리스트 이지봉(이범수)에게 동메달은 애증에 가깝다. 결과가 과정을 무색하게 만드는 현실 속에서 이지봉은 역기를 잡을 수 없는 몸으로 방황하다 보성의 역도부 선생으로 정착하곤 영자(조안)를 비롯한 소녀들을 만나 역도를 가르친다. 타인에게 멸시당하거나 자신감을 상실해버린 존재들이 만나 이루는 신파의 앙상블은 그것이 지독하게 닳고 닳은 스토리건 플롯이건 따져 묻는 입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효율적인 웃음과 눈물의 재료가 된다. <킹콩을 들다>는 눈물과 웃음을 다져 넣고 팔팔 끓인 뒤 비극을 첨가하고 희망이란 그릇에 담아 관객 앞에 내놓는, 먹히는 신파다. 신파는 나쁜 게 아니다. 다만 신파를 불순하게 만드는 환경이 나쁘다. 시대착오적인 건 영화가 아니라 여전한 세상이다. <킹콩을 들다>는 그 열악한 환경을 영화적 감정으로 치환했을 뿐이다. 세상이 변하지 않는 한, 그 현실을 담보로 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은 팔리고 또 팔릴 만한 신파의 재료로서 유효할 따름이다.

Posted by 민용준
,

스승은 제자들에게 말한다. 이 길을 선택하는 순간, 너희는 많은 것을 잃게 돼. 각오와 경고가 한 몸에 담긴 언어가 필사적인 절박함을 드러낸다. 영광보단 고난을 명확히 관통하는 스승의 언질 앞에 제자들은 눈물을 흘리면서도 고개를 끄덕인다. 피땀 흘린 노력의 과정이란 성공이란 방파제를 쌓지 않고서야 쉽게 허물어질 모래성 같은 영예나 다름없다. <킹콩을 들다>는 역도선수를 꿈꾸는 어린 학생들과 금메달에 도전했다 동메달에 머무르고 부상까지 얻은 비운의 역도선수의 삶을 사제라는 관계에 뒤엉켜 넣은 신파다.

Posted by 민용준
,

서로를 케이(권상우)와 크림(이보영)이라고 부르는 남녀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연인이 아닌 동거인으로서 살아왔다. 순정만화의 체온이 느껴진다. 다분히 비현실적이라 규정될만한 관계 속에 신파를 그려 넣는다. 그 사연 속에 은유적인 대사들이 차고 넘친다. 유행가 가사에서나 들어 봄직한 사연이 스크린에 펼쳐지고 비유로서 사랑을 설명하는 것에 능하다. 하지만 사랑을 온전히 설득하지 못하는 이야기 속에서 언어적 비유는 쉽게 허망해진다. 불치병에 걸린 남자가 사랑하는 여인의 곁에 좋은 인연을 점지해주고 떠나간다는 내용은 일면 그럴 듯하다. 하지만 그것이 일방적인 선택이 아닌 쌍방의 암묵적 이해 관계로 거듭나고 삼각관계의 신파로 승화될 땐 손발이 오그라든다는 문장의 의미를 체감하게 된다. 특히 크림의 시점으로 반전되는 후반부의 내레이션은 고문에 가깝다. 투명하다기 보단 표백됐다는 말이 어울리고, 순수하다기 보단 노골적이라 유치하다. 결과적으로 그 모든 상황의 총합이 너무나도 작위적이라 그 감정마저 노골적인 매물로 전시되는 것 같아 심기가 불편해진다. 인공적인 감미료 맛이 진하게 우러난다. 신파는 나쁜 게 아니다. 신파인 척하는 게 나쁜 거지. 슬픔보다 손발이 오그라드는 이야기라 불려도 억울할 게 없는 영화다.

Posted by 민용준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능을 약 170여일 남긴 어느 토요일, 전교 1등부터 20등까지의 성적을 기록한 학생들이 엘리트 수업을 받기 위해 학교로 모인다. 그러던 중 수업 도중인 교실 스피커를 통해 '엘리제를 위하여'가 흐르고 영어교육 DVD가 플레이 되던 TV화면에 물이 차오르는 수조에 갇힌 전교1등 혜영의 모습이 등장한다. 스피커의 목소리가 제시하는 문제를 맞춰야만 함정에 빠진 친구가 살 수 있다. 학생들과 선생들은 동요하지만 곧 친구를 구하기 위해 해답을 찾는다. 하지만 문제는 만만찮고 수조는 점점 목덜미까지 차오른다. 게임은 그렇게 시작된다.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