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의 뉘앙스가 오묘하다. ‘나의 친구’는 온당하지만 ‘그의 아내’는 불온하다. 시선이 느껴진다. 나의 친구를 넘어 그의 아내를 바라보고자 하는 어떤 욕망이 감지된다. 제목이 지정하는 ‘나’, 예준(장현성)은 ‘친구’이자 ‘그’인 재문(박희순)을 거쳐 ‘그의 아내’ 지숙(홍소희)을 바라본다. 제목만으로도 묘한 뉘앙스가 풍긴다. 묘한 삼각관계가 구상된다.
예준은 재문에게 있어서 둘도 없는 절친한 친구다. 유능한 외환딜러인 예준은 미국 이민 생활을 꿈꾸는 재문과 지숙 부부를 위해 영어를 가르쳐주기도 하고 그 뒤로 찾아온 불미스런 위기에서 재량을 발휘해 친구와 가족을 구원한다. 재문은 예준의 우의에 고마워하는 동시에 경제적인 지원을 피할 수 없게 된 자신의 처지에 대한 모종의 열등감을 품는다. 모종의 권력 관계가 형성된다. 물론 기저에 놓인 우정은 진심이다. 하지만 수면 위의 상황이 수면 아래 진심을 은밀하게 억압한다. 견고한 수평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두 남자의 우정은 실상 빈부의 자장 안에서 발생하는 우열의 기울기로 변질되어 서로를 바라본다.
불미스러운 결정적 사건이 관계구도를 전복위기로 몰아넣는다. 우연이 겹쳐 거대한 비극적 필연을 완성하고 친구의 오랜 우정은 진동한다. 관계의 파국을 막아서는 건 재문의 희생이다. 재문은 스스로 상황을 통제하고 상황을 와해시킨다. 결국 구도적 안정이 깨지면서 잠재된 기저의 욕망이 수면 위로 떠오른다. 잠재된 우열이 권력화된다. 예준을 위해 스스로 희생을 각오하는 재문의 심리를 순수한 우정의 발로라고 이해하기엔 석연찮다. 부채의식 이상의 어떤 위기감이 엄습한다. 예준에게 경제적으로 예속된 재문에게 있어서 예준은 자신과 지숙을 구원해줄 수 있는 동아줄과 같은 존재다. 재문의 희생은 친구에 대한 헌신이기도 하지만 현실에 대한 자괴적 수긍과도 같다. 이는 단순히 극영화로서의 전개 속성에 따른 사건의 발단에 불과하다 여겨도 상관없겠지만 이 영화의 태도가 정치적 해석의 의도를 부추긴다.
아내 지숙(홍소희)의 뱃속에 있는 아들 이름에 대해 고민하는 재문에게 예준은 말한다. 남자면 민혁, 여자면 예니. 예준은 민혁은 민중혁명의 약자이며 예니는 칼 마르크스의 아내를 의미한다고 첨언한다. <나의 친구 그의 아내>의 위트는 정확히 이 정도다. 정치적인 조롱에 가깝지만 그것이 실질적인 핵심은 아니다. 강변이라기 보단 유희에 가깝다. 어떤 의지를 표하기 위한 웅변이라기 보단 허구적 기호 속에서 드러나는 현실적 상황을 관찰하며 아이러니한 태도로 현실을 유희로 전락시키는 행위에 가깝다. 때때로 파격적인 설정이 발견되지만 전반적으로 리듬감 있는 스토리텔링이 큰 무리없게 이어진다. 극영화로서의 자질이 농후하다. 하지만 그 유희적 태도 안에 잠재된 본연의 목소리가 심상찮다. '나의 친구' 재문과 '그의 아내' 지숙을 경제적으로 원조하던 예준은 자신이 잉태한 죄의식을 느끼면서도 재문의 대리적 희생을 등에 업고 속죄의 기회를 놓친다. 결국 파국의 책임을 뒤집어 쓴 재문은 지숙과의 관계를 단절하며 도리를 다하고 이를 지켜보는 예준은 도리어 본인의 잠재적 욕망의 상속 기회를 펼쳐나간다.
궁극적으로 파국적 결말을 향해 나아가는 순간마다 발견되는 다양한 기호들이 해석의 여지를 발생시킨다. 영어에 무지한 소시민은 미국을 동경하고, 비좁은 골목마다 가득한 차는 자가주택이 없는 소시민이 이웃의 비하를 얻게 되는 계기로 발전한다. 궁극적으로 영화의 양상을 전복시키는 비극도 그 상황과 연동된다. 한국적이라 할만한 환경적 요소들이 비극을 잉태하는 점층적 수단으로 활용되고 생생히 묘사된다. 자본에 강력하게 종속된 사회 시스템이 개인의 삶을 어떻게 착취하는가라는 날 선 주제를 기발한 관점으로 리드미컬하게 풀어낸다. 이는 죄의식과 속죄양이라는 종교적 고찰과도 맞닿는다. 자신의 죄를 속죄할 기회를 놓친 자의 뒤늦은 파국은 양심을 향한 숭고한 의지를 변호하기 위한 의도적 장치에 가깝다. 하지만 이 모든 것과 무관하게 순수한 극영화적인 내러티브에 집중해도 무방할 정도로 이야기 전개 자체가 흥미롭다. 문학적 비유를 동원한 문장처럼 장면과 상황은 유희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현실을 조명하는 식견이 탁월하다.
돋보이는 배우들의 연기도 공헌도가 높다. 특히 예준을 연기하는 장현성은 악의와 호의 사이에서 갈등하고 망설이는 예준의 이중적 심리를 잘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도 2년 전 완성해 이제야 빛을 보는 <나의 친구 그의 아내>가 신자유주의 체제의 환상에서 허우적거리는 서민들의 삶이 진행 중인 대한민국의 현실을 연상시킨다는 점이 기이한 여운을 남긴다. 어쩌면 2년 전보다도 더 구려진 요즘 현실이 이 영화의 시사성을 더 부채질하는 것일지도 모를 일이다. 그 기이한 삼각 구도는 수많은 오류를 품고 멀쩡하게 유지되는 현실의 축약판이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