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에 점이 있어서 점순이라 불렀던 어미랑 닮은 무늬를 지니고 있던 주먹만한 아이는 점점 어미에 가깝게 자랐다. 하지만 어미와 달리 언덕에서 올려다 보이는 좁은 난간으로 뛰어 오르지 못해 항상 난간 아래 조그마한 돌바닥에서 위를 올려다 보며 울곤 했다. 난간으로 올라와 밥을 먹지 못하는 새끼를 위해 생각해낸 것은 캔을 까서 포크로 잘라 투척하는 일이었다. 가끔씩 조준을 잘못해서 머리에 맞기도 하고 떼굴떼굴 굴러 떨어져서 새끼가 언덕 아래로 쫓아 내려갈 때마다 '아이고' 신음이 터져 나왔다. 캔만 먹을 수 있는 이 아이를 보고 깐돌이라 불렀다.
깐돌이가 보이지 않은 건 이제 그 흔적이 겨우내 밀려간 지난 겨울이 시작될 무렵이었다. 나는 깐돌이에게 주기 위해 사놓은 캔이 겨울 내내 그 자리에 고스란히 쌓여 있는 것을 보며 종종 근심했다. 괜찮을까. 끊임 없이 찾아오는 깐돌이의 어미인 점순이를 보며 가끔 물었다. 네 아이 어디있니. 그 겨울이 지나는 동안 서서히 걱정도 묻혀 갔다. 가끔씩 더해가는 일상의 지층 어느 단면쯤에 있는 그 걱정을 더듬어 보기도 했지만 대부분 망각했고 떠올리지 않았지만 고양이밥을 줄 때마다 나는 아주 희미하게나마 그 아이를 생각했다. 잘 있으려나.
난간으로 뛰어올라온 아이를 보며 나는 별스럽지 않게 창가로 다가가 밥이 있나 확인했고 창을 열었다. 봄이네. 봄이 왔다. 그리고 점순이라 생각했던 그 아이를 빤히 보았다. 점순이가 아니었다. 미묘하게 다른 얼굴을 한참 보며 기억 아래 가라앉아 있던 이름 하나를 건져 올렸다. 너 깐돌이니? 나름 2년 정도 밥을 챙겨주다 보니 눈썰미가 생겼다. 그래도 실험을 하기로 했다. 점순이는 캔을 먹지 않는다. 그래서 캔을 까주기로 했다. 녀석은 주저하지 않고 캔을 먹었다. 창문 안으로 들어와 기웃거리기까지 했다. 물론 내가 어느 정도 안전한 거리를 보존해주는 한에서. 어쨌든 맞았다. 깐돌이였다.
녀석이 허겁지겁 밥을 먹는 사이 팔을 뻗어도 닿을 수 없는 거리쯤에 쪼그리고 앉아 이것저것을 물었다. 뭐했어? 더 줄까? 밥도 줄까? 그렇게 신이 났다가 난데 없이 눈물이 나서 흐느꼈다. 나는 어쩌다 보니 광장에 서있었다. 그 광장에서 자식을 잃은 채 돌아올 수 없는 무언가를 향해 절규하는 어떤 어미 아비들을 떠올렸다. 눈물이 그치니 밑바닥에 쌓여 있던 화가 조금이나마 씻긴 기분이었다. 마치 나를 위로하기 위해 찾아온 아이였던 것마냥 고마웠다. 돌아와 줘서. 제법 잘 자라줘서.
깐돌이는 까준 캔을 잘 먹고 난간을 서성이다 창문 안을 잠시 기웃거린 뒤 사라졌다. 가끔은 사람에게서 얻을 수 없는 위로를 자연으로부터 얻는다. 위로가 됐다. 4월의 봄은 다시 찾아왔고 살아가야 한다는 생각도 다시 하게 됐다. 살아갈 것이다. 고양이캔도 주문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