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 2일>의 엄태웅이 배우로 돌아왔다. 열혈형사로 분한 <특수본>이 바로 그것. 사실 엄태웅은 <1박 2일>로 전국을 돌던 와중에도 언제나 현장에 있었다. 단지 그 동안 우리가 배우 엄태웅에 대해서 잘 몰랐던 것은 아닐까. 어쨌든 배우 엄태웅이 돌아왔다.
“저는 원래 배우였으니까요.” 그랬다. 엄태웅은 원래 배우였다. <1박 2일>이 그 사실을 잠시 망각하게 만들기 전까지는. <부활>이나 <마왕>과 같이 어둡고 무거운 톤의 드라마에서 힘있는 연기를 선사하며 ‘엄포스’라는 별명까지 얻었던 그는 <1박 2일>의 출연과 함께 그야말로 딴사람이 됐다. 족구 시합 중에 헛발질을 하며 ‘개발’이라 놀림을 받고, 김장 중에 생선 두 마리를 뽀뽀시키며 주변에 화색을 돌게 만들며 엄태웅은 대중 곁에 친숙하게 가 닿았다. 사실 배우에게 예능 출연이란 쉬운 일이 아니다. 수많은 캐릭터들의 경계를 넘나들어야 하는 배우 입장에서 출연진의 성격이나 취향을 적나라하게 벗겨내는 요즘 예능의 입담에 투신하기란 분명 꺼려지는 일일 게다. 엄태웅 역시 몇 달간 출연 요청을 고사했다. 결국 <1박 2일>은 실보다 득이 많은 선택이었다. 브라운관과 스크린을 넘나들며 강한 인상을 지닌 배우로 인식되던 엄태웅이 동네 청년과 같은 소탈한 자연인의 인상을 드러낼 때, 배우 엄태웅에 대한 인상도 새롭게 발견된다. 그가 연기해온 캐릭터들의 가면 아래 드러난 엄태웅의 진짜 표정은 그래서 흥미롭다.
매주 방송되는 <1박 2일>의 촬영을 이어가는 와중에도 엄태웅은 남은 ‘4박 5일’을 연기로 채워나갔다. 그의 9번째 영화 <특수본>(2011)은 경찰 살해 사건을 수사하는 특별수사본부의 형사들이 경찰 내부 비리에 접근해가는 과정을 그린 범죄액션물이다. FBI 연수 중인 심리학 박사 김호룡(주원)과 짝패를 이룬 열혈형사 김성범을 연기했다. “생명의 위협까지는 아니었지만 신체의 위협은 느꼈어요.” 너스레를 떨 듯 말하지만 실제로 맨몸으로 뛰고 구르는 스턴트 액션까지 소화해내는 엄태웅은 현장에서 ‘엄액션’으로 통했다. 처음 출연하는 예능 프로그램에 적응해나가는 과정 속에서 <특수본> 촬영을 병행하는 것도 체력적으로 쉬운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엄태웅은 이 모든 과정을 즐기고자 노력했다. “일단 예능은 처음이라서 힘들었죠. 게다가 영화도 어떤 장면이 잘 안되거나 할 때는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것 같아요. 하지만 지금 일이 있으니까 계속 해야 할 것 같고, 재미있기 때문에 하는 거죠.”
사실 엄태웅은 오랜 무명 시기를 견뎌내고 오늘까지 왔다. 장진 감독의 <기막힌 사내들>(1998)에서 단역 출연을 계기로 카메라 앞에 서기 시작한 그는 긴 시간 동안 작은 역할에 자신의 꿈을 재워두고 기회가 무르익어가기만을 기다려야 했다. 강우석 감독의 <실미도>(2003)는 첫 번째 기회였다. 비록 단역이었지만 충무로를 주름잡는 수많은 남자 배우들의 틈바구니 속에서도 엄태웅은 묻히지 않았다. 그리고 <가족>(2004)과 <공공의 적 2>(2005)으로 이어진 강렬한 인상으로 스스로의 자질을 인식시켜나갔다. 진정한 기회는 브라운관을 통해서 찾아왔다. 드라마 <쾌걸춘향>의 변학도 역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그는 <부활>을 통해서 새로운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 작품에서 자신의 인생을 비극의 수렁으로 밀어 넣은 이들을 향한 복수를 감행하는 동안 내적인 갈등을 느끼는 1인 2역의 캐릭터를 연기하며 자신의 스펙트럼을 전시한다.
“역할의 비중이 커지고, 개런티도 늘어나면서 부담이 느껴지는 건 사실이죠. 하지만 결국 더 많은 기회를 얻는다는 건 좋은 일이겠죠.” <부활>이후로 엄태웅의 경력에 가속이 붙기 시작했고, 진정한 주행이 시작됐다. 브라운관과 스크린을 넘나들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고, 그의 캐릭터들은 항상 극의 중심부에서 멀지 않은 곳을 점했다. 사실 엄태웅의 연기에는 그 캐릭터의 강도와 무관하게 일관적인 망설임, 즉 반박자 느린 리듬감이 느껴진다. 그는 말한다. “어떤 역할을 연기할 때마다 그 캐릭터가 뭔가 과하게 보이지 않도록 변화를 주는 게 좋아요.” 그의 캐릭터들은 한결 같이 어떤 확실성으로부터 거리를 둔 채 존재한다. 그것이 그의 캐릭터들을 좀 더 입체적으로 보이게끔 만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어쩌면 “지금까지 스스로 시원하게 연기 잘했다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고 말하는 엄태웅 스스로의 조심스러움 덕분일지도 모른다. 이 모든 과정은 다가올 경험을 통해서 풀어나가야 할 숙제와 같다. 하지만 처음부터 예능 출연이 쉬운 일이 아니었듯, 점차 넓어지는 연기적 보폭이 그의 발전을 대변하는 바로미터임에 틀림없다. 게다가 지난해 270만 관객을 동원한 <시라노; 연애 조작단>으로 흥행배우 대열에 올라선 그가 ‘열등감을 느낀다’고 말하는 건 때로 지나친 겸손처럼 보인다.
엄태웅은 말한다. “연기는 살아가기 위한 수단 이상이 아니에요.” 하지만 또 다시 말한다. “지금처럼 열심히 일하면서 양파껍질이 벗겨지듯 제 안의 모습이 하나하나씩 드러났으면 좋겠어요. 그럼 언젠가 저만의 연기 스타일이 보이겠죠.” 엄태웅에게 중요한 건 분명 삶이다. 그는 살기 위해서 연기한다. 하지만 연기는 그 삶을 지탱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다. 그래서 그는 발전을 바란다. 무엇보다도 엄태웅은 동료 연기자들로부터 유독 ‘인간적’이라는 평판을 많이 듣는다. 촬영 현장 곳곳의 풍경을 차곡차곡 쌓아둔 그의 미니홈피 사진첩은 정이 많은 인간 엄태웅을 드러내는 창과 같다. 그는 삶과 직업의 경계를 넘어서 구수한 된장 내음처럼 퍼져가는 인간적인 매력을 지닌 사람이다. 그리고 좋은 아빠가 되고 싶다고 말하는 그는 “쉬었다가 오는 듯한 <1박 2일>” 사이사이로 연기적 경력을 넓혀나가고 있다. 벌써 <특수본>의 차기작인 <네버엔딩 스토리>의 촬영을 마친 그는 벌써 그 이후의 차기작인 <건축학개론>의 촬영에 들어갔다. 구수한 된장처럼 친숙하지만 깊이 있는 매력을 지닌 배우 엄태웅은 그렇게 삶을 담그며 스스로를 숙성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