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컷뉴스에서 부탁한 리스트. 기준은 2008년 국내 개봉작. 대단할 것도 없고 지극히 사적인 리스트이니 어쩌고, 저쩌고, 이러쿵, 저러쿵, 은 사양하겠음. 일단 베스트 5편을 뽑고 생각해보니 한국영화가 한편도 없다는 것이 고민스러웠지만, 5편 모두 훌륭한 작품이니 후회되진 않는다. 워스트 5편은 뭐, 보시는 그대로. 더 졸작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리스트를 작성한다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참 피곤한 일인 것 같다. 나름대로의 이유 때문에 누락하기가 참 망설여지는 작품들이 있지만 어쨌든 정해야 하기 때문. 게다가 종종 놓친 영화도 있고. 그렇게 많은 영화를 봤지만 정말 보고 싶던 어떤 영화는 못보기도 했고. 결국 사적인 애정이 뒷심을 발휘하는 것 같다. 이 중, <다크나이트>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데스노트 L: 새로운 시작>의 짧은 단평을 남긴다. 여하간 그렇다. 2008년도 가고 있다.
참고로 노컷뉴스의 편집판은 보지 못했다. 리스트는 여러 사람의 의견이 수렴돼 조절된 것으로 보이고, 글은 내부적으로 편집된 것으로 알고 있음. 고로 이건 최초로 작성한 원문과 리스트임.
Best
1. 다크나이트 Dark Knight
2. 데어 윌 비 블러드 There Will Be Blood
3.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No Country For Old Man
4. 바시르와 왈츠를 Walts With Bashir
5. 월-E Wall-E
Worst
1. 맨데이트: 신이 주신 임무
2. 날라리 종부전
3. 쉿! 그녀에겐 비밀이에요.
4. 데스노트 L: 새로운 시작
5. 20세기 소년: 제1장, 강림
<다크나이트>
제목에서 ‘배트맨’이라는 문구를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기이하지만 영화를 본다면 수긍할 수 밖에 없다. <다크 나이트>의 주인공은 배트맨(크리스찬 베일)이지만 이것은 굳이 배트맨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실질적으로 <다크 나이트>를 지배하는 건 조커(히스 레저)다. 그는 배트맨에 의존해 악을 제압하는 고담시의 체제적 오류를 파고든다. 폭력을 제압하는 폭력의 딜레마를 조롱하더니 이내 쥐고 흔든다. 배트맨 홀로 감당할 수 없는 거대한 퍼즐을 만들어 고담시를 혼돈의 도가니로 몰아넣는다. 조커가 만드는 혼돈의 기반은 법치의 무력 앞에서 배트맨이 취한 정당한 폭력을 부정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조커를 통해 배트맨이라는 안티히어로의 정체성을 흔든다. 초현실적인 비범함을 무장했던 영웅의 슈트 안에서 웅크린 인간의 내면적 심리를 탐구한다. 시선은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세상 곳곳으로 확대된다. 미시적이면서도 거시적인 시선이 촘촘하고 광활하다. 블록버스터의 양식으로 완성한 섬세한 드라마의 디테일이 보는 이를 내외적으로 압도한다. 걸작의 너비와 깊이, 그 모든 것이 완전하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데뷔작으로부터 24년, 코엔 형제는 비로소 오스카의 호명을 받았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이하, <노인>)는 평단과 관객의 극찬 속에서 걸작의 반열에 올랐다. 극악한 살인마 안톤 쉬거를 연기한 하비에르 바르뎀은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냉철하고도 흉악한 살인마를 연기했다. 무미건조한 정적 속에서 뚜벅뚜벅 다가오는 긴장감은 피할 수 없을 정도의 위압감을 발휘한다. 어떤 배경음 하나 등장하지 않는 <노인>은 정적 그 자체를 배경으로 미세한 소리 하나에도 반응을 부른다. 안톤 쉬거(하비에르 바르뎀)와 모스(조쉬 브롤린)가 처음으로 대면하기 직전의 긴장감은 질식할 정도로 대단하다. 노인 복지에 대한 냉철한 진단처럼 보이는 제목은 그 극악한 상황을 뒤늦게 대면하는 보안관 벨(토미 리 존스)의 참혹함과 맞닿아있다. 선의보단 악의가 지배하는 살풍경에서 오랜 경험과 지혜는 결국 제압당하기 좋은 노쇠함에 불과해진다. 괴력을 지닌 스릴러적 내공 앞에 감탄을 보내다가도 그 끔찍한 시선에 담긴 내면의 진심 앞에 탄식이 절로 나온다.
<데스노트 L: 새로운 시작>
완결된 원작 만화를 2편으로 나눈 영화로 재생산한 <데스노트>시리즈의 야심은 스핀오프로 이어졌다. <데스노트 L: 새로운 시작>(이하, <데스노트 L>)이란 제목처럼 스핀오프는 L(마츠야마 켄이치)을 위한 영화다. 존재 자체로 궁금증을 자극하는 캐릭터는 이야깃거리가 되기 좋은 상대임에 틀림없다. <데스노트 L>은 그 지점을 파악하고 달려든 기획이다. 문제는 캐릭터를 앞세운 영화가 본래 캐릭터의 매력을 온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캐릭터의 고유한 특성마저 파괴한다. 밀폐된 환경 안에서 뛰어난 두뇌로 사건을 컨트롤하던 L을 활동성 인간으로 묘사한다. 영화를 통해 캐릭터의 이면을 발견하겠다는 야심은 그럴 듯 하지만 본래 매력과 관계없이 캐릭터를 창작해버렸다. 게다가 제도와 윤리에 대한 물음 자체는 실종됐다. 다소 유치한 활극 안에서 L을 평범한 히어로로 만들어버렸다. 매력적인 캐릭터를 소모시키며 증명한 건 몰지각한 기획 남발의 끝을 명확하게 증명한 것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