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가득 햇살이 가득 찼다. 보기만 해도 따스한 광경이다. 집안 구석구석까지 빛이 들어서있다. 그 광경만으로 반 허공에 뜨는 기분이다. 예쁘게 내려앉은 빛이 곱고 화사하다. 하지만 동시에 어딘가 내 것이 아닌 것만 같은 이질감이 느껴진다. 그 채광 좋은 집엔 젊은 부부가 산다. 자상한 상인(김태우)과 천진난만한 모래(신민아)가 아기자기하게 살아가는 둘만의 공간이다. <키친>은 같은 공간을 공유하는 이들이 어느 정도의 진심을 공유할 수 있는가에 관한 사연이다. 한 공간을 공유하고 있지만 때로 다른 것을 보고 생각하게 된 어떤 이들의 마음을 비추려 한다.
제목처럼 <키친>은 공간의 역할이 중요하다. 과장된 명도로 내리쬐는 그 구석구석엔 인물간의 감정이 먼지처럼 켜켜이 내려앉아있다. 상인과 모래는 서로를 신뢰하며 한치도 의심하지 않는다. 하지만 감정을 도발할만한 사건이 생긴다. 약 기운에 취하듯 어느 좁은 공간에서 마주한 외딴 남자의 스킨십에 몸을 맡겨버린 모래는 난생 처음 이상한 맛(?)을 느낀다. 따스한 햇볕에 기분이 나른해지듯 그 남자와의 망중한 같은 시간이 나쁘지 않다. 그렇다고 남편에 대한 마음이 변한 것도 아닌데 자꾸만 그 남자가 떠오른다. 그리고 그 남자를 만난다. 우연히도 한집에서 살게 된다. 특별한 비밀을 공유하게 된 그 남자 두레(주지훈)는 한식당을 차리려는 남편이 믿는 사부라 한다. 기이한 삼각관계에 놓인 세 사람은 알면 아는 대로 모르면 모르는 대로 한 집을 공유하는 관계로 거듭난다.
우연과 필연의 접합으로 이뤄진 삼각관계는 그 투명한 명도만큼이나 인공적이나 설득력을 지닌다. 보다 중요한 건 우연에서 비롯된 필연적 사연의 본심이다. 순수한 캐릭터로 위장에 성공하고 있으나 관계를 흔들기 위한 불순한 의도가 내재돼 있다. 마음이 변한 건 아니라지만 또 다른 누군가가 좋아진 모래의 마음을 마냥 두근거리듯 바라볼 순 없다. 궁극적으로 마냥 순수한 경험담으로 보존될 수 없는 것이다. 갈등을 느끼는 주체는 모래가 아니라 두 남자다. 비밀의 유효기간이 파기되는 순간 화기애애하던 두 남자 사이에 긴장감이 흐르고 웃음을 공유하던 공간은 침묵과 호통으로 채워진다. 애초에 소유하던 쪽과 새롭게 공유한 쪽의 감정이 점차 치열하게 맞부딪힌다. 결국 상황을 무마시키는 건 여자다. 엄밀히 말하자면 거듭나는 쪽은 여자다. 두 남자는 그저 무기력할 뿐이다. 소유하고 있다고, 소유할 수 있을 거라고 믿었던 상대로부터 공유 당하고 있었음을 깨닫는 남자들은 허탈하게 주저앉는다.
<키친>은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한 도발적 물음을 품고 있는 듯 하지만 맺음과 끊음에 대한 사유에 가깝다.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서 뒤늦게 이해해버린 여자는 결국 어느 쪽도 택하지 않음으로써 새롭게 거듭난다. 그렇다고 그 모든 관계가 단절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그것은 선택의 역량에 달렸다. 결혼과 이혼을 시작과 끝의 대립적 성향으로 인식하는 풍토 안에서 <키친>은 나름 진보적인 영화다. 그 변화를 결정짓는 주체도 여자다. 소유하기 원했던 남자들은 그저 선택을 기다릴 따름이다. 장사가 되지도 않는 양산가게를 경영하며 풍선처럼 부풀어오르듯 살아가던 모래는 그 특별한 경험을 거쳐 홀로서기를 꿈꾸고 시도한다. 남녀의 관계보다도 그 여자의 변화가 눈에 띈다. 항상 남자의 요리를 먹던 여자가 스스로 요리를 시도하고 남자들에게 요리를 떠먹여준다.
이야기 흐름은 명료하고 딱히 막히는 구석이 없다. 하지만 때때로 그 상황에 내재된 감정보다도 그 감정을 품은 그릇에 눈이 간다. 깔끔하고 정갈한 미장센은 안으로 삭힌 감정을 숨기기 좋은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지나치게 값비싼 그릇처럼 보인다. 보일 듯 말 듯 얕고 천천히 흐르는 감정선 사이로 시각적 묘미가 더욱 흥미롭게 파고 든다. 세심한 조리사의 손놀림 끝에 차려지는 빛깔 좋은 음식들의 향연은 트렌디한 재미를 더하고, 밝고 화사하면서도 뚜렷한 색감의 영상은 눈길을 끈다. 그 사이로 인물들의 감정변화가 확인되고 갈등의 양상이 감지되나 정작 그 감정에 몰입하기란 쉽지 않다. 영화 속의 인물들은 개성이 뚜렷한 만화주인공처럼 비현실적이다. 그 비현실적인 상을 통해 풍겨져 나오는 감정의 내음 역시 어딘가 비현실적이다. 그래서 머리로 이해가 가나 마음으로 체감되지 않는다. 다만 그 주변부의 다양한 정보를 즐기느라 여념이 없다. 깊은 맛보단 인공적인 자극을 제공하는데 익숙하다. 고운 빛깔로 치장해 눈요기에 좋지만 정작 손이 가지 않는 음식과 같다. 착향료나 감미료처럼 인공적인 색과 맛이 인지된다. 너무 예뻐서 되려 맛보기 불편하다.
<키친>은 예쁘고 아기자기한 영화다. 투명하고 또렷한 색감처럼 인물들도 또렷하고 투명하다. 도발적인 사연을 품고 있지만 착하기만 한 인물들은 그 사연마저 순수하게 표백시킨다. 그 덕분에 <키친>은 극히 특별한 사연으로 속박된다. 보편적인 질문을 던지려 하지만 그 특수한 실례가 답변의 영향력도 제한한다. 너무도 투명하여 이 세상 것으로 보이지 않는 햇살만큼이나 세 사람이 이루는 사연도 반 허공에 떠있는 느낌이다. <키친>은 편향적인 답변으로 이뤄진 앙케이트다. 보편적인 수치를 얻고자 했던 물음의 가능성이 국한된다. 물론 그게 잘못은 아니다. 사랑에 정의가 없듯 어떤 로맨스도 가능성을 의심받을 수 없다. 단지 그것을 사랑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느냐의 차이다. 도발적인 질문이 품은 답안지의 가능성에 비해 편향적인 답변을 수집했다.
근사한 데코레이션의 케이크가 먹음직스럽다. 한 조각 잘라 한 입 베어 물어보니 부드러운 빵 사이를 채운 촉촉한 생크림이 달콤하기 그지없다. 케이크 한 조각을 입에 물었을 때 그 혀끝에 전해지는 달콤함은 행복의 최소단위라 할 수 있을까. 잠시나마 오로지 홀로 느낄 수 있는 온전한 행복이 혀끝에서부터 달콤하게 녹아 내린다.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이하, <앤티크>)는 서로의 존재를 통해 인생의 너비를 깨닫고 미세한 행복을 찾아가는 네 남자의 사연이다.
일본의 베스트셀러이자 국내출간 시에도 큰 인기를 모았던 순정만화 ‘서양골동양과자점’을 원작으로 한 <앤티크>는 원작의 레시피와 데코레이션을 고스란히 스크린에 배달했다. <커피프린스 1호점>과 같이 젊은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트렌디한 취향이 적극적으로 총아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나누자면 동성애를 소재로 한 퀴어 무비이자 케이크 가게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업 전문직 드라마, 그리고 꽃미남들의 메트로섹슈얼한 이미지를 근사하게 엮어낸 캐릭터 무비다. 이 모든 것들이 <앤티크>의 화려한 데코레이션 양식을 완성하는 요소다.
<앤티크>는 네 남자의 사연이 조각처럼 모여 완성된 하나의 케이크와 같다. 네 남자가 모인 케이크가게 ‘앤티크(Antique)’는 각자의 사연 속에 내재된 상처를 서로에게 고백하는 장소다. 봉인된 트라우마를 풀어내듯 네 남자의 비밀스러운 사연이 공개될 때 그 상처와 대면한 멤버들간의 연대감은 더욱 돈독해진다. 또한 네 남자는 각자의 특별한 사연만큼이나 개성이 강하지만 그들의 어울림도 자연스럽다. 제 각각의 맛이 다르지만 진열장에 나란히 세워두기 좋은 조각케이크처럼 돋보이는 조합을 형성한다.
TV미니시리즈의 형식으로 몇 회 분량에 나눠 방영해도 좋을 만큼 확대해도 좋을 만한 사연을 집약적으로 추스르고 연결해 나가는 <앤티크>는 그 사연의 간격을 매듭짓고 연계하는 방식으로 시각적인 편집효과를 적극 활용한다. 컷어웨이나 와이프와 같은 장면 전환을 적극 활용해 화면을 다채롭게 디자인하고 때론 뮤지컬적인 요소를 가미하며 화려한 장면을 얹어내기도 한다. 특히 다양한 효과를 응용한 표현력으로 스크린에 만화적 틀의 상상력을 입히는데 성공한다. 시각적인 묘미가 도처에서 발생한다. 발랄하면서도 지나치게 붕 뜨지 않는다. 그 틈새로 유머러스한 대사와 상황들이 포개진다.
가장 흥미로운 건 <앤티크>가 남성들의 연대를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진혁(주지훈), 선우(김재욱), 기범(유아인), 수영(최지호)은 <앤티크>라는 하나의 케이크를 이루는 네 조각과 같은 존재다. 물론 구심점이자 무게중심인 진혁의 사연이 중점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다른 세 남자의 사연 역시 저마다 기둥을 이루고 <앤티크>를 지탱한다. <앤티크>는 네 명의 사연을 비중의 차이와 별개로 고른 관심을 얻을만한 형태로 완성한다. 네 조각의 사연을 통해 <앤티크>는 달콤한 인생의 비결을 선사한다. 각기 상처를 지닌 네 젊은 청년은 서로에게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고 상대의 상처를 바라보며 스스로 위로 받는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꿈에 대해, 기억에 대해 각기 절망하거나 좌절하던 청년들은 비로소 스스로를 극복하고 진짜 삶을 꿈꾼다. 아마추어들은 비로소 프로페셔널로 성장한다. <앤티크>는 아기자기하면서도 주관이 뚜렷한 트렌디드라마다. 외모에 신경 쓰면서도 내실을 갖추고 있다. 근사한 데코레이션만큼이나 부드럽고 달콤한 케이크를 맛본다는 건 실로 즐거운 일이다. 적어도 그 순간만큼은 충분히 즐거움을 만끽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