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보다도 끊기 힘든 게 ‘미드’ 정주행이다 무심코 누른 플레이 버튼 하나에 다크서클이 무릎까지 내려온다. 에피소드를 거듭할수록 솔깃한 떡밥이 던져진다. 이성보다 본능이 먼저 움직인다. 이건 물어야 하는 것이야! 그렇게 날을 샜다는 미드 팬들이 4열 종대 앉아 번호로 연병장 두 바퀴는 넘을 게다. 사실 <브이> <맥가이버> <전격Z작전> <에어울프> 등과 같은 외화시리즈가 국내 TV시장을 주름잡던 시절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미드의 열풍은 새삼스러운 일이다. 다만 과거와 달리 케이블 채널의 확대 등으로 리모컨을 쥔 시청자들의 선택권이 넓어졌고, 채널 고정을 보장하는 작품 수급에 심혈을 기울이는 채널 간의 작품 수혈 경쟁이 보다 흥미진진해졌다.
범죄물과 미스터리, 의학드라마 등 각양각색의 소재를 지닌 미드들은 저마다의 소재가 지닌 전형성과 특이성을 기반으로 장르적인 스펙트럼을 확대해낸다. <24>, <로스트>, <섹스 앤 더 시티> <그레이 아나토미>와 같은 작품들은 그 제목만으로 장르를 대변한다. 특히 <CSI 라스베가스>를 필두로 <CSI 마이애미> <CSI 뉴욕>까지, 3대 체인점 런칭에 성공한 <CSI>시리즈는 범죄수사물의 전형으로서 영향력을 발휘한다. 뜀박질과 몸싸움으로 대변되던 블루 칼라 스타일의 역동적인 범죄수사에서 벗어나 과학적 접근과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서 인텔리적인 과학수사의 묘미를 제시하는 화이트 칼라 스타일의 범죄물을 완성했다. 무엇보다도 철저한 현장수사와 프로파일링을 동원해서 사건의 인과를 추적하고, 최첨단의 과학수사를 통해서 단서들이 전해주는 정황을 분석해나가는 과정은 지적인 욕구 충족과 함께 전문장르에 대한 신뢰감을 보장한다.
이런 전문성을 보장하는 임무는 그러한 사건 속을 움직이는 캐릭터에게도 주어진다. ‘석호필’이라는 한국 이름을 얻은 <프리즌 브레이크>의 스코필드나 <하우스>의 하우스 등 미드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장르적인 특성을 대변하는 전시적 캐릭터다. 하지만 사적인 성격이나 취향을 지닌 캐릭터의 개성을 어필하고 이를 통해서 극적인 감정선을 보다 두텁게 이끌어내고 드라마의 변수를 만들어낸다. 성공한 작품에는 저마다 성공적인 캐릭터가 존재한다. <X파일>에 멀더와 스컬리가 있어야 하듯, <CSI>에는 길 그리섬 반장이, <24>에는 잭 바우어가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스토리다. 크게 유턴하기 보단 조금씩 차선을 바꾸며 끝내 새로운 경로로 나아가는 차를 지켜보는 것이 보다 흥미로운 법이다. 미묘한 흐름의 변화를 예감하게 만들면서도 이를 확인하고 싶은 호기심을 억누르지 못하게 만들고, 다음 에피소드를 기다리게 만드는 건 미드의 필수적인 전략이다. 시즌제로 운영되는 미드는 1시즌, 심지어 본 작품에 들어가기 앞서서 방영되는 파일럿 시즌에 대한 반응을 통해서 작품의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우리가 재미있다고 꼽는 그 미드 작품들은 그런 치열한 검증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다. 10부작으로 계획됐다 해도 작품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면 단 한 회만으로 사라진다. 장수하느냐, 비명횡사하느냐, 결국 완성도가 문제로다. 지나치게 냉정한 것 아니냐고? 회당 제작비가 백만 달러가 넘어가는 제작 여건을 염두에 둔다면, 낭비적인 작품의 싹을 잘라버리는 건 냉정한 합리에 가깝다. 동시에 이런 낭비를 좋은 작품의 질적 향상을 보장하는 투자로 돌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CSI>와 비교된 <싸인>이나 <스파르타쿠스>에 비교된 <추노>와 같이, 미드의 스타일에 영향을 받아 긍정적인 결실을 이룬 한국드라마가 등장하고 있다. 다만 앞의 두 작품이 그 스타일의 장점을 흡수하며 독자적인 스토리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스타일은 결국 하나의 그릇에 불과하다. 다양한 소재 발굴과 스토리 개발, 기술적 발전 등 종합적인 제작 여건이 뒷받침돼야 <CSI>도, <스파르타쿠스>도 나오는 법이다. 무엇보다도 시급한 건 상상력의 주체들에 대한 생존 문제다. 작가 파업으로 방영이 중단돼도 그 권리를 알고 기다릴 줄 아는 성숙한 시청자들이 존재하는 사회와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하고 골방에서 굶어 죽는 작가가 존재하는 사회의 차이. 미드와 한국드라마의 차이는 어쩌면 바로 이런 근본적인 밑바닥의 생태에서 시작되는 것 아닐까.
<몬스터 vs 에이리언>(이하, <몬스터>)을 선택한 이유가 궁금하다. 일단 캐릭터가 아니라 스토리를 보고 영화를 선택했다. 스토리가 마음에 들면 캐릭터는 자신의 방향에 맞게 만들어가면 된다. 특히 <몬스터>같은 경우 젊은이들에게 남과 다르다는 건 나쁜 점이 아니라 오히려 큰 자산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마음에 들었다. 예를 들면 ‘거대렐라’는 굉장히 크다는 게 콤플렉스지만 오히려 그것을 통해 친구들도 구하고, 지구도 구한다. 목소리 연기는 캐릭터를 내 몸에서 벗어나 목소리만으로 연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꼈다. <24>를 찍던 중에 <몬스터>를 했기 때문에 주중에 14시간은 잭 바우어를 연기하고, 주말 5시간은 워 딜러를 연기했기 때문에 균형이 잘 맞았다. <몬스터>는 5살로 돌아가는 것처럼 재미있는 기분을 느꼈다.
캐릭터를 연기하는데 있어서 주안점을 둔 부분은?
캐릭터를 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창조하는 과정이 있었다. 그게 애니메이션의 좋은 점이기도 하다. 내가 예전에 봤던 <벅스 바니>만화 캐릭터의 목소리가 워 딜러 장군과 어느 정도 비슷한 느낌을 얻었다. 그걸 기반으로 좀 더 발전시켜서 워 딜러 장군에 맞는 목소리를 만들었다.
<몬스터> 이전에도 애니메이션에서 목소리 연기를 펼친 적이 있다. 그 밖에도 게임이나 다큐멘터리 내레이션을 맡았던 적이 있다. <24>를 비롯해 그 동안 액션 연기를 많이 했다. 그런 당신에게 목소리 연기가 주는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
다큐멘터리 내레이션은 자신을 그대로 드러내는 작업이지만 <몬스터>를 비롯한 애니메이션은 새로운 캐릭터에 맞게 창조를 하는 작업이다. 낮과 밤, 아니면 오렌지와 사과처럼 목소리 연기와 몸으로 하는 연기는 완전히 다른 영역이다. 일단 애니메이션은 내 몸을 생각하지 않고 감정이나 목소리만으로 연기를 한다는 면에 있어서 훨씬 자유롭다.
3D영상기술은 차세대 영상매체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 안에선 가상의 3D인물이 진짜 배우처럼 연기한다. 배우로서 이를 지켜보는 느낌이 어떤가?
3D애니메이션은 굉장히 유망한 기술이며 당연히 장차 차세대 매체로 활용될 거다. 스티븐 스필버그나 제임스 카메론 같은 유명한 감독들도 이에 동의하는 것으로 안다. 이는 관객들을 영화자체에 빠져들게 할 수 있다. 내가 봤던 50년대, 60년대 3D와는 완전히 차원이 다르다. 물론 기술 자체만이 중요한 게 아니라 기술이 어떻게 쓰이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간담회에서 한예슬 씨와 친근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그녀의 첫인상이 어땠나?
일단 목소리 톤이 리즈 위더스푼과 굉장히 비슷해서 깜짝 놀랐다. 드림웍스의 CEO인 제프리 카젠버그는 47개의 언어로 출시되는 <몬스터>가 제각각의 버전에서 제대로 표현되는지 관심이 많고 그만큼 목소리에 민감했다. 그런데 한예슬 씨 목소리를 듣더니 굉장히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나도 오늘 아침에 처음 봤는데 여성스럽고 사랑스럽게 웃더라.
<24> 시즌7이 조만간 한국에서 공개된다. 시즌7에서 주목할만한 점이 있나?
메시지는 관객들이 픽업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특별히 어느 부분을 봐달라고 말할 수 있는 건 없을 것 같다. 다만 시즌7에서는 잭 바우어가 지난 삶에 대해서 많은 성찰을 한다. 한국에서도 공개된다니 기대가 된다.
오랫동안 잭바우어를 연기하고 있는데 그런 캐릭터와 함께 늙어간다는 건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
잭 바우어는 계속 진행되는 캐릭터다. 시즌1에 나오는 잭 바우어와 시즌7에 나오는 잭 바우어는 완전히 다르다. 잭 바우어는 굉장히 큰 대가를 치르면서 많은 일을 해나간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변화하는 것처럼 캐릭터도 함께 보완되는 것을 느낀다. 그런 점에서 잭 바우어를 연기하는 동안 배운 바가 많다. 지금도 굉장히 즐기면서 하고 있다. 다만 개인적으로 잭 바우어의 이미지를 나와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24>가 한국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자신의 작품이 여러 나라에서 많은 인기를 누린다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24>는 아시아권만 아니라 아프리카에서도 인기가 많다. <24>가 국경과 언어와 문화의 경계성을 초월하는 작품이란 생각이 들고 관객들이 캐릭터에 대해서 그만큼 동감하는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 자랑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