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환 추기경의 선종 때도 사람들은 모여 들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눈물 흘리거나 한숨을 내쉬고 추모의 발길이 모이는 광경에서 그때와 비슷한 기시감을 얻는다. 정적과 광풍처럼 너무나도 대조적인 인생을 관통한 두 사람의 엔딩 앞에서 사람들은 동일한 상실감을 느끼고 있다. 형태가 전혀 다른 두 서사의 동일한 지점은 감정을 야기시킨다는 것이다. 제 아무리 놈현 탓이다, 라고 비아냥거렸던 이들도 그 죽음 앞에서 엄숙함을 느끼고 있는 것만 같다. 물론 노무현에 대한 비아냥이 지금 MB에게 보내는 욕지거리와 차원이 달랐다는 것 정도는 인지할 필요가 있다. 적어도 마음 놓고 손가락질할 수 있는 자유가 있었고, 그만큼 관점의 여유가 생겼다. 애초에 인간적 그릇의 차이가 있었다. 적어도 누구처럼 고개 돌리고 상종하기 싫은 위인은 아니었던 셈이다.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 당시 사람들은 어른의 죽음을 슬퍼했다. 점차 어른이 사라지는 시대에서 사람들은 마치 어린아이처럼 누운 주검 앞에 몰려들어 눈물을 훔쳤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빈자리는 무엇을 전하고 있나. 이 거대한 비통함의 행렬 속에서 기이한 기분을 느낀다. 현재 이 죽음으로부터 느껴지는 깊은 상실감은 그 죽음과 깊게 연관돼있다. 그 죽음 이전에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노무현이란 인물에 대해 이토록 깊은 애정을 느끼고 있었을 리는 만무하다. 그는 실패한 대통령으로 치부됐고, 힘없고 나약하게 조롱당하곤 했다. 하지만 죽음의 형태가 보여준 진심이 사람들을 울리고 있다. 만약 이 죽음이 양심적 자살이 아닌 돌발적 사고, 혹은 자연적 사망이었다면 적절한 애도 수준에 머무르지 않았을까. 어느 한 인간의 마지막 서사에 대중들의 마음이 동하고 있다. 극단적이지만 지극히 영화적인 결말이다. 현실에서 이루지 못할 것 같은 예술적 감동이 발생한다.
자신의 생을 끊어버리는 방식으로 진심을 전하는 이의 마음엔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럼으로써 사람들은 그 마지막 진심을 추모하고 또 그리워한다. 그 마음이 만들어낸 빈자리를 보며 채워 넣을 수 없는 절망을 느낀다. 양심을 느끼는 인간이란 낯설다. 인간적으로 살아남기 힘든 시대에서 인간이 지녀야 할 양심 따위가 중하다는 말이 낯설다. 노무현의 죽음은 마치 죽음으로서 양심을 증명해야 하는 시대가 왔음을 예고하는 것과 같다. 동시에 양심의 종말을 선언하는 것마냥 비참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 앞에 모여드는 사람들의 비통함 역시 이런 감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 죽음이 휘저어 놓은 자신의 마음에서 떠오르는 부조리를 하나씩 찬찬히 살펴보게 만든다. 명예라는 언어의 숭고함이 믿을 수 없는 방식으로 명확하게 부활한다.
스펙이 인간의 가치를 대변하는 기준이 되는 시대에서 사람들은 갈증을 느낀다. 수많은 사람 사이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고갈된 인정을 감지한다. 인간에 대한 향수를 느낀다. 성공과 성취가 소유욕을 대변하는 시대에서 사람의 마음이란 갈 곳이 없다. 그런 시대에서 감수성에 예민한 사람이란 아슬아슬하다. 전직 대통령 시절부터 자신의 속내를 쉽게 드러내는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사람들은 품위가 없다고 했지만 실상 그 품위 없음이 권위적 길들임에서 스스로를 해방하고 있다는 것에 통쾌를 느끼지 않았을까. 놈현스럽다, 라는 막말에 담긴 비아냥은 애증과 같았다. 쥐새끼라고 멸시당하는 것과 차원이 다른 놀림이다. 물론 이 죽음을 통해 분노를 확보하진 말자. 지금은 위로를 전할 때다. 너와 나의 마음 사이의 허물어진 간격을 살피고, 스스로의 삶을 돌이켜볼 때다.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 다만 사람답게 사는 방식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기계가 아닌 인간으로, 서로를 안고 쓸어 내려야 한다. 누군가에 대한 원망을 담기 전에 스스로를 정화할 수 있는 시간을 품자. 살아남아서 악당이 되거나 죽어서 영웅으로 기억되거나. 죽은 영웅을 추모하는 우리는 결국 살아남아야 한다. 그러니 악당은 되지 말자. 사람은 못돼도 괴물은 되지 말자. 애도하라. 그게 사람이 사는 방식으므로. 산 사람은 살아서 답한다.
예상치 못한 결말이란 이런 건가. 슬프다는 말은 못하겠다. 그렇게 진한 애정이 있진 않았다. 차라리 애증이랄까. 무엇보다도 안타깝다는 말이 언어가 아닌 한숨으로 나온다는 건 분명 진심이다. 죽음이란 찰나의 쓸쓸함으로 위안받을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평생을 두고 두고 기억나는 일이다. 누군가의 삶을 지탱하는 얼굴이었건, 누군가의 술자리에서 씹어대기 위한 안주거리였건, 누구나 알만한 이의 죽음은 마음을 어지럽게 만든다.
사고도 아닌 자살이란 말이 조금은 낯설었다. 누군가는 지금쯤 말하고 있겠지. 그 정도 가지고 자살씩이나. 현 대통령을 비롯해 역대 대통령들, 그리고 고위 공직자까지 포함해 연병장에 일렬로 세워서 깔끔하게 통장 관리해온 사람들 순위를 매겨보면 노무현은 몇 번째에 해당될까. 누구 말대로 인물이 아니었군. 그래, 인물이 아니었어. 돈 받아먹고 입 씻고 뻔뻔하게 살아갈만한 위인이 아니었던 거지. 나약했다. 지금까지 누구라도 그러했듯 당연히 그러려니 하고 사람들도 살아갔을 텐데 정작 스스로는 참을 수 없었던 걸까. 참 쓸쓸한 일이다.
드라마틱한 사건인 건 분명하다. 이 드라마를 보고 느낀 감정이 도대체 어떤 형태의 결론으로 굳어질지도 잘 모르겠다. 더 참혹한 건 그 이후의 세상이다. 종로나 청계천, 시청, 그리고 심지어 대학로까지도 경찰들이 쫙 깔렸다는데 난 이 현장에 분노를 느낀다. 물질적 요구로 마음이 황폐해진 사람들이 함께 손을 부여잡고 체온을 나눌 수 있는 기회마저 박탈하는 이 세태에 난 분노한다. 이 죽음 이후의 감정이 분노로 연결된다는 것이 참혹하다. 어째서 애도하지 못하는 건가. 어째서 이 상실감을 연대하지 못하게 하는 건가. 이게 사람 사는 세상인가. 가장 무능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현명함을 억누르는 꼴이라니, 마치 기르는 개에게 물린 것마냥 마음이 심란한 일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자살해야 한다고 당당하게 홈피에 끄적인 김동길이란 작자나 현재 서거가 아닌 자살로 수정해야 한다며 입방정 떨고 있는 조갑제 같은 위인은 뭘 아는지 모르겠다. 댁들의 죽음이 얼마나 세상을 상쾌하게 만들지, 남의 죽음을 함부로 지껄이는 이들의 삶이란 얼마나 무가치 한 것인지. 관심이 사치인 인생이란 이런 것들이다. 정작 자살해도 좋을 위인들이 성질이 뻗치게 당당하게 살아가는 세상이다. 되레 호통치고 살아가지. 나 잘났다고. 그런 세상에서 자신의 티끌이 부끄러워 사라지는 사람이 있다는 건 감동이 된다.그리고 아픔이 된다. 누구라도 그러하듯이, 티끌 없이 살아가는 사람이란 없기에 자신의 삶을 순수한 방식으로 돌아보게 만든다. 난 이 죽음을 애도하련다. 노무현이 티끌 하나 없이 청정한 삶을 살아서가 아니다. 적어도 자신의 양심적 채무가 누군가의 짐이 되길 원치 않았던 사람이라서다. 그게 바로 사람이다. 사람 구실 못하는 짐승의 우리 같은 세상에서 사람이 되길 원하는 사람의 죽음이란 이처럼 절절하다. 명복을 빈다. 서거든, 자살이든, 부디 편히 눈 감길. 의미 있는 삶이었어. 적어도 사람 냄새가 났지. 그러니 이제 사람의 빈자리를 추모합니다. 잘 가세요. 노무현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