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보다도 끊기 힘든 게 ‘미드’ 정주행이다 무심코 누른 플레이 버튼 하나에 다크서클이 무릎까지 내려온다. 에피소드를 거듭할수록 솔깃한 떡밥이 던져진다. 이성보다 본능이 먼저 움직인다. 이건 물어야 하는 것이야! 그렇게 날을 샜다는 미드 팬들이 4열 종대 앉아 번호로 연병장 두 바퀴는 넘을 게다. 사실 <브이> <맥가이버> <전격Z작전> <에어울프> 등과 같은 외화시리즈가 국내 TV시장을 주름잡던 시절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미드의 열풍은 새삼스러운 일이다. 다만 과거와 달리 케이블 채널의 확대 등으로 리모컨을 쥔 시청자들의 선택권이 넓어졌고, 채널 고정을 보장하는 작품 수급에 심혈을 기울이는 채널 간의 작품 수혈 경쟁이 보다 흥미진진해졌다.
범죄물과 미스터리, 의학드라마 등 각양각색의 소재를 지닌 미드들은 저마다의 소재가 지닌 전형성과 특이성을 기반으로 장르적인 스펙트럼을 확대해낸다. <24>, <로스트>, <섹스 앤 더 시티> <그레이 아나토미>와 같은 작품들은 그 제목만으로 장르를 대변한다. 특히 <CSI 라스베가스>를 필두로 <CSI 마이애미> <CSI 뉴욕>까지, 3대 체인점 런칭에 성공한 <CSI>시리즈는 범죄수사물의 전형으로서 영향력을 발휘한다. 뜀박질과 몸싸움으로 대변되던 블루 칼라 스타일의 역동적인 범죄수사에서 벗어나 과학적 접근과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서 인텔리적인 과학수사의 묘미를 제시하는 화이트 칼라 스타일의 범죄물을 완성했다. 무엇보다도 철저한 현장수사와 프로파일링을 동원해서 사건의 인과를 추적하고, 최첨단의 과학수사를 통해서 단서들이 전해주는 정황을 분석해나가는 과정은 지적인 욕구 충족과 함께 전문장르에 대한 신뢰감을 보장한다.
이런 전문성을 보장하는 임무는 그러한 사건 속을 움직이는 캐릭터에게도 주어진다. ‘석호필’이라는 한국 이름을 얻은 <프리즌 브레이크>의 스코필드나 <하우스>의 하우스 등 미드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장르적인 특성을 대변하는 전시적 캐릭터다. 하지만 사적인 성격이나 취향을 지닌 캐릭터의 개성을 어필하고 이를 통해서 극적인 감정선을 보다 두텁게 이끌어내고 드라마의 변수를 만들어낸다. 성공한 작품에는 저마다 성공적인 캐릭터가 존재한다. <X파일>에 멀더와 스컬리가 있어야 하듯, <CSI>에는 길 그리섬 반장이, <24>에는 잭 바우어가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스토리다. 크게 유턴하기 보단 조금씩 차선을 바꾸며 끝내 새로운 경로로 나아가는 차를 지켜보는 것이 보다 흥미로운 법이다. 미묘한 흐름의 변화를 예감하게 만들면서도 이를 확인하고 싶은 호기심을 억누르지 못하게 만들고, 다음 에피소드를 기다리게 만드는 건 미드의 필수적인 전략이다. 시즌제로 운영되는 미드는 1시즌, 심지어 본 작품에 들어가기 앞서서 방영되는 파일럿 시즌에 대한 반응을 통해서 작품의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우리가 재미있다고 꼽는 그 미드 작품들은 그런 치열한 검증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다. 10부작으로 계획됐다 해도 작품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면 단 한 회만으로 사라진다. 장수하느냐, 비명횡사하느냐, 결국 완성도가 문제로다. 지나치게 냉정한 것 아니냐고? 회당 제작비가 백만 달러가 넘어가는 제작 여건을 염두에 둔다면, 낭비적인 작품의 싹을 잘라버리는 건 냉정한 합리에 가깝다. 동시에 이런 낭비를 좋은 작품의 질적 향상을 보장하는 투자로 돌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CSI>와 비교된 <싸인>이나 <스파르타쿠스>에 비교된 <추노>와 같이, 미드의 스타일에 영향을 받아 긍정적인 결실을 이룬 한국드라마가 등장하고 있다. 다만 앞의 두 작품이 그 스타일의 장점을 흡수하며 독자적인 스토리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스타일은 결국 하나의 그릇에 불과하다. 다양한 소재 발굴과 스토리 개발, 기술적 발전 등 종합적인 제작 여건이 뒷받침돼야 <CSI>도, <스파르타쿠스>도 나오는 법이다. 무엇보다도 시급한 건 상상력의 주체들에 대한 생존 문제다. 작가 파업으로 방영이 중단돼도 그 권리를 알고 기다릴 줄 아는 성숙한 시청자들이 존재하는 사회와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하고 골방에서 굶어 죽는 작가가 존재하는 사회의 차이. 미드와 한국드라마의 차이는 어쩌면 바로 이런 근본적인 밑바닥의 생태에서 시작되는 것 아닐까.
부엌은 비좁아도 상관없지만 옷장만큼은 넓어야 한다는 캐리(사라 제시카 파거)의 마놀로 블라닉 구두는 <섹스 앤 더 시티>(이하, <섹스&시티>)에 대한 기호를 파악하는 기준과도 같다. 그 누군가에게 호가의 사치품으로 인식될만한 마놀로 블라닉 구두는 <섹스&시티>의 캐리에겐 필연적 기호다. 그 기호에 대한 수긍과 부정은 <섹스&시티>를 뉴요커에 대한 환상과 된장녀에 대한 질시로 구분하는 척도로 작동한다.
<섹스&시티>는 그녀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대변하는 것이다. 섹스 칼럼니스트 캐리와 그녀의 친구들, 미란다(신시아 닉슨)와 샬롯(크리스틴 데이비스), 사만다(킴 캐트럴)의 노골적인 성담론과 진솔한 경험담으로 발췌되고 집약되는 뉴욕 커리어우먼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6시즌의 대장정으로 진열한 TV시리즈 <섹스&시티>는 그에 대한 열광과 혐오를 통해 대중들의 관심사를 얻었다. 하지만 속물적 욕망을 거리낌 없이 드러내고 사소한 일상을 여백 없이 배치하며 그에 담긴 의미를 자문하는 <섹스&시티>의 미덕은 분명 그로부터 축적된 삶으로부터 진솔한 답변을 얻고 삶의 경지를 터득한다는 점에 있다. <섹스&시티>를 둘러싼 취향의 잡음은 섹스와 시티의 표면과 내면, 그 어느 쪽을 인정하느냐에 달렸다.
극장판으로 버전업 된 <섹스&시티>는 말줄임표처럼 늘어뜨려진 채 여운을 남긴 TV시리즈의 에필로그와 같다. 혹은 시즌6을 잇는 시즌7의 2시간 분량 압축이라 해도 무방하다. 게다가 TV시리즈와 극장판 사이에 놓인 3년간의 공백을 콜라주 영상으로 간략히 정리해주는 영화의 도입부는 이를 부정하지 않는다. 직장과 가정 생활로 바쁘게 지내는 미란다와 불임으로 고생하다 중국에서 입양한 딸과 함께 행복한 가정생활을 누리는 샬롯, 그리고 누구보다도 성적 유희에 충실했던 사만다가 배우로 일하는 연하애인과 할리우드에서 동거 중이란 사실을, 그리고 TV시리즈의 긴 에피소드 속에서 끈질기게 이별과 재회를 거듭하던 빅(크리스 노스)과 캐리가 다시 열애 중임을 캐리의 자전적 내레이션으로 총망라한다.
극장판의 형식은 TV시리즈의 그것과 다를 바가 없다. 캐리의 내레이션을 통해 던져지는 인생과 사랑에 얽힌 물음은 시크한 도시적 취향으로 포장되고 은밀한 성적 담론을 여과 없이 나누는 네 여성의 솔직한 대화와 주변 경험을 거쳐 역시 캐리의 음성으로 답변된다. 다만 2시간 여의 러닝타임으로 이뤄진 영화적 규격에 맞춰 TV시리즈의 리모델링이 불가피했음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극장판은 빅과 재회한 캐리의 에피소드를 축으로 그녀의 세 친구들의 사연을 주변부에 고르게 배치한다. 이는 매회마다 중심인물을 바꾸며 그로 인해 발견된 명확한 주제의식으로 끝을 맺던 TV시리즈와의 차이라 할만하다. 이런 면에서 극장판 <섹스&시티>는 TV시리즈의 오랜 목차에 연연하거나 그에 대해 민감하게 의문을 품지 않는 이에겐 무난한 로맨틱 코미디 정도로 관람해도 무방할 만큼 평이한 구성으로 완성됐다. 특히나 ‘색칠(coloring)’이란 단어로써 이뤄지는 그녀들의 섹스토크는 TV시리즈만큼 노골적이진 못하지만 시리즈의 위상을 각인시킬 만큼 발칙한 웃음을 제공한다.
하지만 극장판은 되려 기존의 TV시리즈에 팬덤을 지녔던 이에게 또 한번의 지루한 동어반복으로 여겨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캐리와 빅의 지긋지긋한 구간반복 로맨스는 또 한번 열애와 파탄을 오가고, 그 안에서 캐리의 좌절과 극복 역시 또 한번 반복된다. 게다가 자신들의 배우자 혹은 애인에게 종종 불안감을 조성하는 여성들의 히스테리나 스스로 자책할 만큼 후회할 짓을 반복하는-특히 빅!- 남성들의 답답한 소심증은 극장판의 도처에 깔려있다. 이는 한 인물을 축으로 단락적인 에피소드에 집중한 TV시리즈의 에피소드를 매회 보는 것과 달리 극장판이 네 인물의 전반적인 사연을 한 시즌을 전방위적으로 구성했다는 점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차이이며 극장판이 감수해야 할 당위과제처럼 보인다. 게다가 간결한 에피소드 안에서 순발력 있게 구성된 사연들의 재미에 비해 긴 러닝타임만큼이나 극장판은 지나치게 호흡이 긴 인상을 주며 사연 속에 농축된 성찰의 깊이도 분산되는 에피소드 속에서 다소 밋밋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섹스&시티>극장판은 개별적 완성도 여부를 따지기 전에 시리즈의 서비스 정신을 높게 사는 편이 더 온당해 보인다. 화려한 패션에 열광하고, 개방적인 취향에 수긍하고, 뜨거운 사랑을 열망하면서, 서로의 우정을 중시하는 그녀들의 20여 년간의 뉴욕 연대기가 7년 동안 6시즌으로 지속될 수 있었던 건 이 시리즈의 매력이 그만큼 유지된 까닭이기도 하거니와 그녀들을 향한 팬덤이 그만큼 지속됐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만약 당신이 이 시리즈에 깊은 호감을 지닌 이라면 결말부에 이르러 그 지지부진한 연애에 확실한 종지부를 찍는 캐리의 모습에 감정이입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캐리가 자신이 처음 뉴욕에 입성했던 20년 전을 회상하는 것처럼 당신도 언젠가 과거 스스로를 회상할 때 즈음, 이 시리즈를 회상할 것이다. 단지 캐리의 마놀로 블라닉을 흠모했건, 캐리의 내레이션에 담긴 예리한 경험적 성찰에 공감했건 간에 <섹스&시티>극장판은 그녀들의 네버 엔딩 스토리를 꿈꾸는 이들에 대한 무한한 보답과도 같다. 마흔을 자축하는 그녀들의 사연이 거듭 재생되지 않아도 팬심은 계속된다. 그리고 <섹스&시티>극장판은 분명 그 추억을 한 뼘 자라게 해줄 만한 요량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