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뜬 그의 눈 앞에 놓인 건 낯익은 풍경이 아니다. 그곳은 그가 머물던 곳이 아니다. 게다가 몰골도 말이 아니다. 지난 밤을 함께 했던 친구들도 말이 아니다. 심지어 모두 다 있는 게 아니다. 좀처럼 찾을 수 없는 한 친구와 연락이 닿는 것도 아니다. 행적이 기억나는 것도 아니다. 심지어 그들이 널브러진 그 방에서 난데없이 출몰한 어떤 동물의 출처도 아는 바가 아니다. 그러니까 이 모든 상황이 그들이 의도했던 것이 아니다. 기억이 사라진 지난 밤의 흔적은 끔찍한 숙취(hangover)뿐만이 아니다. 그리고 이건 그들의 첫 번째 경험이 아니다.
<행오버 2>라니, 어떤 이에게는 이 낯선 제목의 영화가 심지어 속편이란 것까지 의아할 수 있겠지만 알만한 이들은 익히 잘 알고 있는 이 영화가 이 땅에서 미개봉작이 돼버린 전편의 사례에도 불구하고 불시착하듯 개봉한 것에는 그만한 사연이 있을 것이다. ‘숙취’라는 제목을 지닌 이 영화는 결혼식을 앞둔 친구와 총각파티를 벌이겠다며 라스베가스에서 질펀하게 먹고, 마시고, 맛보고, 즐기던 네 남자가 필름이 끊어진 사이에 벌어진 친구의 실종을 수습하기 위해서 벌어지는 난장판의 코미디다. <행오버>가 여타의 코미디물들과 차별화된 건 절제하지 않는 표현력의 막강한 수위 덕분이다. 예측불가능한 내러티브 위에서 나열되는 파편적인 시퀀스는 역시나 측정 불가능한 수위의 파괴력을 지닌 코미디의 엔진을 달고, 거침없이 달려나간다.
<행오버>와 <행오버 2>는 온전히 닮은 꼴 영화다. 라스베가스에서 방콕으로 장소만 변했을 뿐, 모든 제반 상황은 전작의 기시감을 느낄 정도로 유사하다. 심지어 영화 속 캐릭터들조차도 또 한번의 반복이라는 상황을 인식하고 직접적인 대사로 이를 내뱉는다. 그러니까 이는 분명 의도적이다. 또 한번 필름이 끊긴 그 상황은 역시나 예측할 수 없는 민폐의 포텐셜을 지니고 있는 한 인물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역시나 누군가가 사라지고, 난데없이 그들의 곁에는 정체불명의 동물 한 마리가 자리하고 있으며 역시나 전작에서 등장했던 요주의의 인물이 그들의 여정에 끼어들고, 그들이 더듬어나간 잃어버린 기억 안에는 감당할 수 없는 진실이 잠재돼 있다.
그러니까 만취 속에서 정신을 잃어버린 그들이 마치 토사물을 치우듯, 지난 밤에 벌여놓은 난장을 청산하는 과정이 바로 <행오버>와 <행오버 2>의 요지다. 사실 이건 똥이다. 변기 뚜껑 아래에 놓인, 똥이다. 그냥 물을 내려도 되겠지만, 꼭 누군가는 그 뚜껑을 들어서 내용물을 확인하고야 마는, 그것이다. <행오버 2>는 <행오버>와 마찬가지로 술 취한 얼간이들이 벌인 지난 날의 막장 놀음을 뒤쫓는, 좋은 구경거리다. 전작만큼이나 위력이 대단한 화장실 코미디가 곳곳에 지뢰처럼 매설된 <행오버 2>는 위력적인 면에서 좀 더 업그레이드된 코미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확실히 전작의 흥행에 힘입어 나온 속편이라는 의심은 확신으로 변모한다. 예상 범위를 뛰어넘는 복마전을 전전하는 전편의 재미는 속편에서 다소 증발된 면이 있다. 스토리의 흐름 속에서 인위적인 강박이 느껴지고, 캐릭터의 등장도 부자연스럽다. 특히나 하던 이야기를 대충 수습하는 듯한 결말의 방식은 어리둥절한 수준에 가깝다. 업데이트가 부진한 것이다.
하지만 어떠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행오버 2>는 역시 <행오버>의 속편답다. 무시할 수 없는 코미디의 위력, 그것만으로도 이 작품은 존재가치를 스스로 선언한다. 스토리는 그저 거들 뿐, 중요한 건 결국 그 만취의 난동 속에서 만들어진 토사물 같은 상황들을 시한폭탄 같은 웃음의 잠재력으로 강력하게 이어나간다는 것이 바로 <행오버>를 포함한 <행오버 2>의 본체다. 그러니 더도 말고, 그저 취향이 맞으면 고, 아니면 스톱인 것. 다만 본인이 감당해야 하는 숙취처럼 감상의 호불호도 결국 본인의 몫인 것.
다른 것도 아니고, ‘드래곤볼’을 영화화한다니! 뒷감당을 생각한다면 분명 용기가 가상한 기획이다. <드래곤볼 에볼루션>(이하, <드래곤볼>)은 원작 팬들의 심금을 울릴만한 배반의 향연으로 이뤄졌다. 원작에 대한 애정이 충만한 어떤 독자라면 청바지에 티셔츠를 걸친 손오공(저스틴 채트윈)의 모습만으로도 경악을 금치 못할 것이다. 나의 드래곤볼은 이렇지 않아, 라며 스크린을 향해 ‘에네르기파’라도 쏘고 싶은 애증이 한데 모여 ‘원기옥’을 띄울지도 모를 일이다. 그나마 어떤 면에서는 영리한 선택이다. ‘드래곤볼’의 본래 자태를 있는 그대로 스크린에 구현하겠다는 집념은 만화와 영화의 괴리감을 무시하는 무지로 판명될만한 것임에 틀림없다. <드래곤볼>은 코스프레 무비로 스스로를 몰락시키지 않겠다는 듯이 만화적 세계를 거침없이 허물어 나간다.
그러나 그 특수한 세계관을 변주한 자신감이 특별한 묘미로 연동되지 못한다면 그것 역시 무색한 일이다. ‘기’를 아느냐는 직설적 대사로서 그 세계관을 일축하려는 대사는 흡사 ‘도’를 아십니까, 류의 질문만큼이나 우스꽝스럽다. 무국적 세계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방대한 캐릭터들의 향연이 할리우드식 스테레오 타입의 동양적 철학으로 채색되고 있는 건 심히 유감이다. 내가 아는 ‘손오공’이 아니라서가 아니라 스크린의 손오공이, 그리고 그 세계가 본래의 형태를 훼손할만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까닭에서 <드래곤볼>은 유감스럽다. ‘드래곤볼’을 스크린에 구현하겠다는 야심 자체가 7성구를 모아 신룡을 소환하겠다는 의지만큼이나 초현실적인 일이었을지 모른다. 적어도 <드래곤볼>을 보면 그렇다. 엔딩 크레딧 너머의 영상을 통해 발견되는 후속에 대한 암시를 보고 있노라면 그것이 착각의 늪인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아득한 기분이 든다. <매트릭스 레볼루션>에서 네오와 스미스의 수중 격투 장면을 통해 ‘드래곤볼’의 실사버전을 연상했던 지난 한 때의 기대감이 서러울 지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