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에도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렸다. 작품마다 명암이 엇갈렸다. 보고 싶은 작품은 여전히 넘쳤다.

Posted by 민용준
,

 

서울시립미술관의 전시 <보이지 않는 사람들>은 당신을 눈뜨게 한다.

'cultur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K팝 스타 3>가 되는 이유  (1) 2014.03.18
제84회 아카데미 시상식 후기  (0) 2014.03.06
마이클 패스벤더, 크고 아름다운 사나이  (0) 2014.02.28
정리해야 사는 남자  (0) 2014.01.19
아담들의 사회  (0) 2014.01.19
Posted by 민용준
,

<미 앤 유> 단평

cinemania 2014. 3. 3. 01:13

<미 앤 유>는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말년작이 될 것임을 제외한다면 큰 특이점이 없는 작품이다.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거나 비범한 걸작으로 분류되진 않을 거다. 하지만 노장만이 지닐 수 있는 사려 깊은 시선을 명징하게 증명하는 작품이다. <몽상가들> 이후로 무려 10년 만에 발표한 베르톨루치의 <미 앤 유>는 소소한 성장 영화에 가깝다. 물론 영화 속의 상황이란 그리 평범하지 않다. 지하실에 마련한 자신만의 아지트에서 은신을 즐기려던 소년이 이복 누나와 우연히 동거하게 되며 벌어지는 7일 간의 사연이란 그 공간성과 행위 설정의 의도로부터 어떤 지적인 메타포를 읽어야 할지 고민하게 만든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미 앤 유>는 한 시대를 풍미한 노장이 새로운 어린 세대에게 내미는 따뜻한 손길에 가깝다. 부모 세대로부터 얻은 상처를 통해서 고립의 장벽으로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혹은 자신을 망가뜨릴 탐닉과 환각으로 도피하려는 동세대간의 소통을 통해서 삶에 대한 회복과 치유를 일깨울 수 있다는 조언이자 충고 혹은 그러한 믿음의 전달에 가깝다. 혁명과 자유를 꿈꾸던 20대의 유아기적 낭만을 아름다운 미장센 안에 담아낸 <몽상가들>이 역설적으로 텅빈 도구 같은 영화였던 것을 생각한다면 <미 앤 유>는 본질적인 질문에 집중하는 인상이라 결과적으로 꽉 찬 인상이기도. ‘Space Oddity’와 함께 맞이한 엔딩 시퀀스에서 소년의 얼굴을 줌인하는 엔딩 컷은 사실 보기 드물게 낡은 방식이라 생경하기도 했는데 베르톨루치라는 감독의 시대를 반추했을 땐 묘하게 다가오는 것도 같았다. 지나갈 시대를 미리 보고 있다는 기분. 그래서 어쩌면 <미 앤 유>는 베르톨루치의 유언 같은 작품일지도 모르겠다고, 내심 생각했다.

Posted by 민용준
,

마이클 패스벤더라니, 정말 단단하면서도 날렵한 이름이다. 공구로 치자면 전동 드라이버 같은 것이 떠오른다고 할까. 게다가 한음한음 또박또박 읽어보면 섹시하고 강인하면서도 지적인 뉘앙스가 느껴지는 것도 같다. 확실히 남자다. 수컷이다. 차고 넘치는 테스토스테론의 기운이 느껴진다. 마이클 패스벤더는 크고 아름다운, 거물이 될 사나이다.

'cultur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4회 아카데미 시상식 후기  (0) 2014.03.06
보이지 않는 사람들, 볼 수 있는 사람들  (0) 2014.03.04
정리해야 사는 남자  (0) 2014.01.19
아담들의 사회  (0) 2014.01.19
다시 도는 LP  (0) 2014.01.19
Posted by 민용준
,

<논스톱> 단평

cinemania 2014. 2. 26. 02:51

<논스톱>을 보면서 리암 니슨표 액션영화라는 장르가 생성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어쨌든 <테이큰>에서 <언노운>, <논스톱>으로 이어지는 리암 니슨의 액션은 아직까진 물리진 않는다. 사실 액션이라기보단 미스터리 스릴러에 가까운데, 비행기 기내라는 공간성을 밀실 살인의 미스터리를 위한 장으로 몰아넣는 구상이나 모든 인물에게 의심의 꼬리표를 달게 만드는 수법은 후반부까지 적당한 흥미를 쥘만한 수준을 유지한다. 사실 줄리안 무어를 비롯한 모든 인물들이 인위적으로 '내가 범인처럼 보이지 않니?'란 식의 의심스러운 표정 연기를 계주하듯이 이어가는데 다들 적당히 잘해내는 인상이라 거듭되는 의심 돌려막기가 적당히 성공하는 인상.

다만 맥아리 없게 껍데기를 벗어버리는 듯한 결말부는 자폭 혹은 추락 같다. 리암 니슨과 함께 한 자움 콜렛 세라 감독의 전작 <언노운>은 결말부가 지나치게 과격하게 나아간다는 인상이었는데, <논스톱>은 조금 부족하다는 인상. 어쨌든 그래도 최후반부의 하강신에선 물리적인 공포가 체험되는 듯. 어쨌든 일찍이 액션 스타의 꿈을 품었다던 리암 니슨은 아직도 살풀이가 한창인가 싶다. 자움 콜렛 세라가 <아키라>를 연출한다는 소문이 있던데 이건 어찌되고 있나 궁금하기도.

<노예 12년>에 등장하는 스쿳 맥네이어리와 루피타 뇽을 근래에 또 보게 돼서 반갑기도.

Posted by 민용준
,

SOLAR STORM

태양은 음악으로 기억되고 싶은 남자다. 자신을 불태워서라도 강렬한 음악이 될 남자다. 태양이 돌아왔다. 태양의 무대가 다시 떠오른다.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비에 돌란 인터뷰  (0) 2015.02.07
서강준 인터뷰  (0) 2015.02.07
엄태웅 & 김민준 인터뷰  (0) 2014.01.19
'드렁큰 타이거' 타이거 JK 인터뷰  (0) 2014.01.19
한효주 인터뷰  (0) 2013.08.04
Posted by 민용준
,

꿈을 먹고 연기한다

WANNA BE A STAR?

누구나 스스로 빛날 수 있길 바란다. 기회를 꿈꾼다. 별을 꿈꾼다. 엄태웅과 김민준도 별을 바라봤다. 결국 별이 됐다. 그리고 잠깐의 반짝임이 아니길 다시 꿈꾼다.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강준 인터뷰  (0) 2015.02.07
'빅뱅' 태양 인터뷰  (1) 2014.01.19
'드렁큰 타이거' 타이거 JK 인터뷰  (0) 2014.01.19
한효주 인터뷰  (0) 2013.08.04
김슬기 인터뷰  (0) 2013.07.10
Posted by 민용준
,

술 취한 호랑이가 다시 신들린 음주 랩핑을 시작한다. 타이거 JK가 돌아왔다. 드렁큰 타이거가 나가신다. 그러니 손 머리 위로. 소리 질러!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뱅' 태양 인터뷰  (1) 2014.01.19
엄태웅 & 김민준 인터뷰  (0) 2014.01.19
한효주 인터뷰  (0) 2013.08.04
김슬기 인터뷰  (0) 2013.07.10
장기하와 얼굴들 인터뷰  (0) 2013.05.17
Posted by 민용준
,

든 자리도 알고 난 자리도 안다. 그 자리에 있어야 할 건 없어졌고, 없어야 할 것이 굴러다녔다. ‘내 집에선 상상할 수 없던 일이 결혼 후 우리 집이 생기면서 벌어졌다.

'cultur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지 않는 사람들, 볼 수 있는 사람들  (0) 2014.03.04
마이클 패스벤더, 크고 아름다운 사나이  (0) 2014.02.28
아담들의 사회  (0) 2014.01.19
다시 도는 LP  (0) 2014.01.19
결혼식은 없어도 결혼은 있다  (0) 2014.01.19
Posted by 민용준
,

아담들의 사회

culturist 2014. 1. 19. 14:44

직장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어느 여자 상사가 그랬다. 듣는 남자는 고개를 끄덕였다. 하지만 결국 고개가 갸우뚱해졌다.

'cultur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클 패스벤더, 크고 아름다운 사나이  (0) 2014.02.28
정리해야 사는 남자  (0) 2014.01.19
다시 도는 LP  (0) 2014.01.19
결혼식은 없어도 결혼은 있다  (0) 2014.01.19
[미생]이 말을 걸었다  (0) 2013.12.23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