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파이어들이 등장하는 영화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는 좀처럼 목을 물지 않는다. 매혹적인 이미지로 이빨을 드러낼 뿐이다.

Posted by 민용준
,

 

조셉 고든 레빗이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메가폰을 잡고, 주연까지 맡은 <돈 존>은 보통 물건이 아니다.

Posted by 민용준
,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는 뛰어난 이야기꾼의 영화다. 물론 흥미로운 이야기밖에 없는 영화라는 말이 아니다.

Posted by 민용준
,

살짝 늦은 감이 있지만, 지극히 사적인 취향으로 감별한 2013년의 베스트 영화 리스트. 개봉작 수가 많은 외국영화는 20, 상대적으로 적은 한국영화는 10. 순서는 개봉일 순대로.

 

외국영화 20

라이프 오브 파이/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스토커/ 제로 다크 서티/ 장고: 분노의 추적자/ 테이크 쉘터/ 월플라워/ 러스트 앤 본/ 스타트렉 다크니스/ 코스모폴리스/ 마스터/ 폭스파이어/ 블루 재스민/ 프리즈너스/ 쇼를 사랑한 남자/ 그래비티/ 캡틴 필립스/ 올 이즈 로스트/ 토르: 다크 월드/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한국영화 10

베를린/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2/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연애의 온도/ 감시자들/ 설국열차/ 더 테러 라이브/ 소원/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사이비

 

리스트 밖의 호감작

외국영화: 더 임파서블/ 문라이즈 킹덤/ 라스트 스탠드/ 피치 퍼펙트/ 아이언맨 3/ 셰임/ 사이드 이펙트/ 더 울버린/ 플레이스 비욘드 더 파인즈/ 러시: 더 라이벌/ 어바웃 타임/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

한국영화: 신세계/ 우리 선희/ 변호인

 

보지 못해서 마음에 걸리는 작품

외국영화: 더 헌트/ 링컨홀리 모터스/ 시저는 죽어야 한다/ 버니/ 스프링 브레이커스/ 일대종사/ 애프터 루시아/ 사랑에 빠진 것처럼/ 머드

한국영화: 남자사용설명서/ 러시안 소설

Posted by 민용준
,

<변호인>은 노무현에 관한 영화이되, 노무현을 위한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노무현이란 말을 통해서 환기되고 복기되는 영화인 것 같다. 이 시대의 첨예한 갈등 한복판에 <변호인>이란 영화가 놓여있다.

Posted by 민용준
,

그래, 네가 보고 싶은 게 이런 거지?’란 식으로 시작해서 결국 , 이래도 네가 보고 싶은 게 맞아?’란 식으로 끝난다. 그리고 결론은 결국 다음 기회로. 어쨌든 지난 <에반게리온>을 리빌딩한다는 목표 안에서 기존 세계관을 분리하고 재배열하는 작업이었다면 <에반게리온:Q>는 새로운 리빌딩 소스를 장착하는 작업에 가깝다. 다만 기존의 세계관 말미에서 드러났던 안도 히데아키의 분열과 자폐 증세는 막바지로 치닫는 이번 작품에서도 여실히 드러나는데 다만 기존 시리즈와 같이 자폭으로 치닫기 보단 확실한 이미지로서 세계관의 종말 혹은 구원을 그려내겠다는 완결적인 의지가 보인다. 오프닝 시퀀스부터 메카닉 떡밥을 줄줄이 날려대면서도 소통의 벽을 쌓은 팬덤에 대한 멸시적인 시선도 엿보인다. 기본 작품과의 궤에서 대단히 벗어나고 있음에도 평행우주와 같은 맥락임을 주장하고 싶게 만들 떡밥도 대거 등장한다. 기존 작품의 세계관을 초월하는 동시에 그 세계관의 관성을 고스란히 품었다. 어쩌면 이번 리빌딩 시리즈에 대한 안도 히데아키의 의지가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로 Q Quickening, ‘되살아나게 하는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결국 안도 히데아키의 완결보완계획은 성사될 수 있을까. 결말편이라 알려진 <에반게리온: | |> 기다리는 수밖에. 놈의, 서비스! 서비스!

 

(무비스트)

'cineman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극히 사적인 2013년의 영화 리스트  (0) 2014.01.02
<변호인>관람 권하는 시대  (0) 2013.12.24
<내 인생의 마지막 변화구>노인을 위한 변명은 없다  (0) 2013.01.02
<타워> 단평  (0) 2013.01.01
<26년> 단평  (0) 2012.11.23
Posted by 민용준
,

사람들은 거짓말을 많이 하지. 내가 몇 년 전에 다신 연기하지 않겠다고 했던 것처럼.” 4년 전이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그랜 토리노>가 배우로서 출연하는 마지막 작품이 될 것이라 말했다. <내 인생의 마지막 변화구>는 그런 선언을 거짓말로 둔갑시킨 작품이다. <내 인생의 마지막 변화구>에서 메가폰을 잡은 건 로버트 로렌즈다. 그의 첫 연출작이다. 로버트 로렌즈는 긴 시간을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함께 했다. <블러드 워크> <미스틱 리버> <밀리언 달러 베이비> <그랜 토리노> 등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작품을 제작하고 기획하며 파트너로서 긴 시간을 공유해왔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를 다시 카메라 앞으로 불러낼 수 있었던 것도 그런 덕분이다.

'cineman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호인>관람 권하는 시대  (0) 2013.12.24
<에반게리온:Q> 단평  (0) 2013.04.18
<타워> 단평  (0) 2013.01.01
<26년> 단평  (0) 2012.11.23
<다크 나이트 라이즈>배트맨, 죽어야 사는 남자  (0) 2012.09.25
Posted by 민용준
,

<타워> 단평

cinemania 2013. 1. 1. 18:42

솔직히 촌스럽다. 웃기고 울리려는 의도가 다분한 찰나가 그런 정황 속으로 끼어들어가도 될 거라 판단한 연출적 감이 기가 막힌다. 말 그대로 그냥 웃기고 울리는 순간을 나열하면 된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하지만 그런 촌스러움이 <타워>를 붕괴시키는 한방은 아닌 것 같다. 그래도 뛰어난 배우들의 연기와 완성도 높은 CG가 이런 단점을 상쇄시킨다. 거대한 주상복합주택의 화재 안전성은 현재에도 여러 차례 제기되고 있는 문제라 CG의 완성도로 인해서 보다 현실적인 공포로 치환된다. 고의적인 악역의 설정도 눈에 빤하지만 우리네 일상에서 마주치는 파렴치한들의 수준이 그만한 것이라 딱히 뭐라 지적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 어쨌든 인재에서 비롯된 거대한 재난의 수순은 인정할만하다. 재난의 이미지는 완벽하고 그 안의 끔찍한 그림도 여럿이라 붕괴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결말부까지의 참혹함은 진짜처럼 와 닿는다. 다만 한강 너머에서 바라보이는 여의도의 타워 스카이는 사실 누가 봐도 9.11의 유사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같아서 남의 비극을 상업의 도구로 활용한 것 같다는 일말의 거부감도 든다. 그 이미지를 권유할 마음도 없지만 말릴 마음도 없다.

 

(무비스트)

Posted by 민용준
,

<26년> 단평

cinemania 2012. 11. 23. 13:41

강풀 작가의 <26>은 사연이 많은 소재를 장르적인 그릇에 담아서 그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영화는 원작에 비해서 호흡은 짧게 가져가야 하니 각색은 불가피하고, 실사화라는 표현적인 제한도 존재한다. 특별한 재해석 능력을 보여준다면 모를까, 원작의 의미에 충실한 작품을 만들고자 한다면 본전 찾기도 쉬운 작업은 아니다. <26>은 그런 제약들을 뛰어넘은 영화적 성취를 보여주는 작품이라 하긴 어렵다. 압축된 초반 서사는 성기고, 변주된 일부 캐릭터는 비효율적인 경우가 발견된다. 그럼에도 영화를 보는 내내 뜨거운 감정이 차고 넘친다. 어떤 식으로든 1980 5 18일에 대한 감정이입에서 자유롭기 힘든 탓이다. 어떤 식으로든 냉정하게 보기 힘들다. 보는 내내 울화가 치민다. 미치도록 죽이고 싶어진다. 영화를 영화 자체로 보기 힘들게 만드는 이 놈의 현실이 문제다. 영화 하나가 짊어진 사연이 뭐 이리 무겁고 언제까지 애달파야 하냔 말이냐.

 

(무비스트)

Posted by 민용준
,

No city for batman

고담의 흑기사 배트맨이 돌아왔다. 수많은 사람들이 극장으로 모였다. 말들을 쏟아냈다. 우린 이 고독한 영웅에게 무엇을 바라고 있나? 아니면 이 영화가 우리에게 무언가를 바라고 있는 것 아닐까?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