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요일 저녁부터 목요일 아침까지, 그러니까 추석 연휴를 맞이하기 전날, 친구 아버지의 장례식장에서 아침을 맞이했다. 사실 날을 새려고 간 건 아니었다. 그러나 그 자리에 있다 보니 자리를 비울 수가 없었다. 걱정했던 것보다 친구의 얼굴은 밝았다. 하지만 그 너머에 깊게 눌린 슬픔이 읽혔다. 난 좀처럼 말을 하기 어려웠다. 뒤늦게 도착한 동창이나 선후배와 종종 화기애애하게 떠들곤 했지만 쉽게 침묵했다. 그 친구가 어느 정도의 무게감을 떠안고 있는지 섣불리 짐작하기 어려웠다. 자리를 지켜야겠다 싶었다. 덕분에 술도 많이 마셨고, 전날 외고 마감 때문에 몇 시간 잠들지 못한 나는 새벽 즈음에 눈꺼풀이 무거워지는 걸 감당하기 어려움을 느끼다 잠깐 눈을 붙였다.
집으로 돌아오는 새벽 지하철 속에서 꾸벅꾸벅 졸다 겨우내 집에 도착했다. 출근 시간까진 2시간 정도의 여유가 있었고, 1시간 정도 눈이라도 붙이자는 마음으로 침대에 쓰러졌다. 그러다 식도를 타고 넘어오는 이물감을 느끼고 화장실로 달려가 변기에 토악질을 했다. 집에 와서야 나를 비트는 취기를 느꼈다. 요즘은 이상하게도 집에 와서야 취기를 직감할 때가 많다. 어쨌든 양치질을 하고 침대 위에서 정신을 잃듯 쓰러졌다. 눈을 떴다. 벨소리가 들렸다. 금요일마다 원고를 넘겨주는 선배의 전화였다. 전화를 받고 정신을 차리니, 젠장, 출근시간이 1시간 정도 넘었다는 걸 알게 됐다. 편집장님께 전화를 드리고 부랴부랴 출근준비를 한 뒤 강남역에 있는 사무실로 날아갔다. 추석 전날이라 오전 근무만 하는 날인데 지각을 했다. 머쓱했다. 편집장님의 아량으로 별 탈은 없었다.
오후까지 볼 일을 보다 버스에 짐처럼 앉아서 집으로 향했다. 누군가를 만나서 수다라도 떨고 싶었다. 온 몸에 덕지덕지 붙은 피곤에 당장이라도 넋이 나갈 것 같았지만 그랬다. 하지만 정작 대화를 나눌 사람이 없네. 선약이 갑자기 깨진 덕분이기도 하지만 명절 전날이라 다들 분주했다. 아니면 그만큼 내 인간관계가 얄팍하나 보지. 그냥 그 거리에서 사라지듯 집으로 기어들어갔다. 뒤늦게 발인에 참가한 친구들과 안부를 나눴다. 고등학교 졸업 이후로 처음 만난 친구와 회포를 풀었던 그 자리의 기억이 선연했다. 그 자리에서 친구의 출산 소식을 전해 듣고 축하한다는 전화를 걸었던 기억도 선명했다. 누군가가 죽음 앞에 슬픔을 뉘고 있을 때, 누군가는 탄생 앞에 기쁨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역설적이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사람들의 슬픔과 기쁨이 공존하겠지. 부질없는 생각이 머리카락을 흔드는 바람처럼 스치고 지나갔다.
장례식장의 분위기란 묘한 것이다. 실상 죽은 자의 슬픔이란 산 자가 짐작할 수 없는 감정이다. 누군가의 죽음을 위로한다는 건 산 자를 위한 일이 아니던가. 죽음 너머로 살아있는 자들은 연민을 공유하며 서로를 치유한다. 장례식장에서 만난 사람들은 웃음을 나누며 서로를 위무했다. 아이러니하지만 산 자들은 죽은 자가 남긴 슬픔을 그렇게 부둥켜안으며 서로를 지탱한다. 죽음이 각별한 건 죽음에 대한 애도를 넘어 삶에 대한 각성을 일깨우는 까닭이다. 그 죽음이 남기는 건 허무가 아닌 사유다. 우린 그 사유 안에서 생을 전진시켜 나가는 것이다. 친구의 장례식장에서 얻은 건 산 사람들과의 조우였다. 죽은 자를 위한 자리에서 산 사람들이 모여 관계를 되새긴다. 기묘한 일이다. 하지만 결국 중요한 건 삶이다. 산 사람은 살아야지. 친구도 살 것이다. 나도 살 것이고, 모두 다 살아갈 것이다. 사라진 사람이 남긴 기억을 흘려 보내며 산 사람들은 새로운 기억을 공유한 채 살아가야 한다. 그리고 언젠가 산 자들의 눈물 위로 떠내려가는 망자로서 사라질 것이다. 그러니 잘 살아야겠다. 매일을 마지막 날처럼 후회 없는 삶을 살아보련다. 죽음을 통해 삶의 일깨움을 얻었다. 역설적이다. 산다는 게 참 그런 건가 싶을 정도로.
'도화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정한 루저로 사는 법 (0) | 2009.11.11 |
---|---|
안녕, 바다 (0) | 2009.10.18 |
검은 정장 (0) | 2009.09.30 |
분홍색 셔츠 (0) | 2009.09.13 |
휴가, 광주, 친구, 추억 (2) | 2009.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