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대통령을 지지하는 북군의 승리로 남북전쟁이 끝난 1865년 미국에서 승리에 도취된 북부인들의 분노를 부르는 사건이 발생한다. 연극을 관람하던 링컨 대통령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 초유의 대통령 암살을 겪게 된 북부인들은 암살에 가담한 용의자들을 추적해서 체포하고 관련자들을 색출해내고 재판석에 앉힌다. 그 가운데에는 용의자들의 아지트를 제공하고 그들을 후원했다는 혐의를 얻었으나 이를 부인하는 여인, 메리 서랏(로빈 라이트)이 자리하고 있었다. 변호사 출신으로 전쟁에 참전한 북군 장교 프레데릭 에이컨(제임스 맥어보이)은 친분이 있는 변호사 출신의 장관 리버디 존슨(톰 윌킨슨)의 요청으로 그녀의 변호를 맡게 된다. 덕분에 링컨의 암살자를 변호하게 됐다는 차가운 시선을 얻게 된 그는 개인적인 신변의 어려움을 겪어나가면서도 그녀의 주변을 조사하던 중 심각한 의문을 품게 된다.
링컨 암살 사건 이후, 그 암살자들을 법적 제도로서 처리하는 과정을 그린 <음모자>는 법정을 배경으로 두고 있으나 법정 스릴러로서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은 아니다. 물론 죄의 유무를 가리고자 고군분투하는 젊은 변호사 에이컨이 거짓 증언을 가려내고, 북군 정부의 일방적인 처벌적 음모를 분쇄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은 흥미롭다. 그리고 이는 법정 스릴러로서의 서스펜스보다도 인본주의적인 가치관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는 한 인물의 노력에서 새어 나오는 숭고함과 편견이 섞인 관점으로부터 벗어나서 객관적인 시각을 회복하게 되는 인물의 변화와 성장을 지켜보는 과정에 방점을 찍고 있다. 그리고 이 모든 흥미를 유발시키는 방아쇠는 바로 진실의 여부에 주목하는 영화의 관점 자체에 있다. 뒤집기 어려운 결과를 향해서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싸우는 이의 행보는 그 자체로 하나의 서스펜스가 된다.
<음모자>는 이미 정해진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는 이 영화는 사건에 얽힌 진실 그 자체를 조명해내는 사실적 진술에 전력을 쏟는 역사물이다. 남북전쟁 당시의 풍경을 생생하게 재현해내는 것을 시작으로 그 시공간을 장악하고 있던 일방적인 관점과 그 관점에서 발전된 광기적 현상에 초점을 맞춰낸다. 미국 최초의 여자사형수이기도 했던 메리 서랏이 누명을 쓰고 사형대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정해진 결과를 재현하고 있는 이 영화가 법정 스릴러로서의 장점을 얻을 수 없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그런 특별한 장르적 특성보다도 보편적인 가치를 논하는 이 영화는 그만큼 정직한 문법과 성실한 기술로서 뚜렷한 형태를 완성하고, 묵직한 무게를 얻어낸다.
무엇보다도 실화의 재현에 주목하고 있는 이 영화가 흥미를 부르는 건 그것이 단순히 그 시대에서만 발견되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다. 마녀사냥에 가까운, 법치적인 제도를 통해서 이루는 반법치적인 처벌은 <음모자>가 재현하는 그 시대의 전후로도, 미국 이외의 수많은 땅 위에서도, 전세계적으로 종종 발견되곤 하는 인류의 부조리한 역사적 단면에 가깝다. 대의라는 이름으로 개인의 권리를 묵살하고, 국가적 명분을 위해서 인간 본연의 가치를 무시하는 행위는 인류가 쌓아 올린 역사 안에서 거듭 발견돼 왔다. 실존인물에 대한 서사와 실제적인 음모론의 풍경을 묘사해온 바 있는 로버트 레드포드는 <음모자>를 통해서 또 한번 거대한 명분에 짓눌려야 했던 어느 개인의 비극적인 역사를 들춰낸다. 특별한 기교보다는 우직한 정면승부처럼 나아가는 이 작품은 시대와 사건을 관찰하는 작가의 관점과 시선을 통해서 나름의 멋을 얻어낸다. 연륜과 패기, 이 빤한 수식어가 잘 맞아떨어지는 로빈 라이트와 제임스 맥어보이의 조합은 어쩌면 이 작품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준수한 볼거리라 해도 좋을 것이다.
살바도르 달리는 스스로를 천재라고 지칭했다. 그는 사회부적응자처럼 행동하면서도 자신을 천재라고 언급하는데 있어서는 어떠한 망설임도 없었다. 그의 기괴한 행적은 다양한 기록으로 남아있으며 스스로도 이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그는 현재 천재로 인정받는 예술가 중 한 사람으로 전해진다. 달리의 기괴한 행위만큼이나 기괴한 그의 그림들이 가늠할 수 없는 그의 천재성을 대변한다. 그의 기괴한 행위는 그의 죽음과 함께 잊혀져 갔지만 그의 그림만큼은 여전히 현세에서 유효한 가치를 이어나간다.
<리틀 애쉬: 달리가 사랑한 그림>(이하, <리틀 애쉬>)는 살바도르 달리(로버트 패틴슨)에 관한 전기적 드라마이자 쉽게 드러나지 않았던 달리의 가려진 삶을 조명하는 작품이다. 시대상과 실존인물을 재현하는 전기적 드라마의 성격이 기본적인 극의 자질을 이루는 동시에 퀴어 멜로의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는 <리틀 애쉬>는 살바도르 살리가 죽기 직전 고백했다는 스페인의 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하비에르 벨트란)와의 은밀한 로맨스를 서사의 줄기로 이어나간다. 독재와 혁명이라는 격동의 현대사를 지닌 스페인의 시대상 안에서 살아나가는 명사들의 삶을 지켜본다는 의미와 함께 그 삶의 가려진 단면을 발췌하고 드러낸다는 점에서 <리틀 애쉬>의 기획적 목표는 뚜렷하다.
살바도르 달리보다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를 중심으로 두 사람의 관계와 그들이 놓인 시대상을 곁들이듯 묘사하는 <리틀 애쉬>는 인물의 삶을 관통하기 보단 그 이색적인 관계의 지속을 곁눈질하듯 관찰한다. 동성애자였던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가 살바도르 달리에게 호감을 느낀 후, 지속적인 관계를 이뤄 온 두 사람의 일대기가 서사의 줄기를 이룬다. 살바도르 달리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를 오가던 시점의 중심은 점차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에게 할애되기 시작하며 점차적으로 <리틀 애쉬>는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가 바라본 살바도르 달리의 이미지를 곁들이는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일대기적 전기 성격을 띠게 된다. 그 서사적 진전엔 일관성이 부족하다. 인물의 관계와 시대적 상황을 오가며 어느 곳에 방점을 찍어내지 못하는 형상을 연출한다.
시대상에 대한 묘사나 해석은 탁월한 편이라 말하기 어렵고,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는 방식에 대한 특별한 감상도 도모되기 어렵다. 단지 특이한 인물 이상을 벗어나지 못하는 캐릭터들의 인상에선 어떤 특별한 감흥을 얻어낼만한 지점이 드물다. 단지 그것이 그 인물에 대한 정통적인 관점을 배제한 관계 묘사에 치중한 결과라 할지라도 인물에 대한 인상적인 감상이 도모되지 않는다는 건 분명 전기영화로서 아쉬운 지점이다. 시대나 인물에 대한 묘사나 해석 어느 측면에서도 딱히 인상적인 면모를 발견하기 어렵다. <리틀 애쉬>는 수많은 실존인물들을 등장시킬 뿐, 그 인물들에 대한 흥미를 돋우지 못하는 전기영화인 셈이다. 마치 실존주의적 과거를 초현실주의적 스크린이 따라잡지 못하는 형국이랄까.
스페인의 위대한 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와 훗날 히치콕의 추앙을 얻는 거장 루시스 브뉘엘(매튜 맥널피), 그리고 천재 화가로 꼽히는 살바도르 달리까지, 실존인물을 재현하는 작품 안에서 그 인물을 연기하는 배우들의 연기는 단연 눈에 띄는 볼거리다. 무엇보다도 기존의 하이틴 이미지를 벗어 던진 로버트 패틴슨의 광기 어린 연기는 그 연기의 완성도와 무관하게 이색적이다. 때때로 캐릭터의 흐름을 설득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경도적인 연기를 펼치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에 호연이라 평하긴 망설여지지만 열연으로서의 성과는 인정받을만하다. 동시에 배역만으로도 자신의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한 선택의 의지가 엿보인다는 점에서 보다 인상적이다. 때때로 흉내와 같은 기능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상은 아쉽지만 그 시도는 인정할만하다.
조선말기, 질곡의 역사 속에서 펼쳐지는 허구의 로맨스. <불꽃처럼 나비처럼>은 실존인물을 밑그림으로 허구적 로맨스를 채색한 작품이다. 기록적 역사에 근거를 둔 재현이 아닌, 실존인물을 통해 뻗어나간 상상을 스크린에 입힌다. 비극적 역사 속에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인물을 비극적 멜로의 주인공으로 재생산한다. 이런 사연이 있었다면 어떨까, 정도의 가벼운 거짓말을 실제적 삶에 덧칠한다. 논픽션의 캐릭터에 픽션의 삶을 입힌다는 건 나름대로 쓸만한 설정이다. 그런데 <불꽃처럼 나비처럼>을 보고 있노라면 이 영화가 추구하는 픽션의 묘미가 무엇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무명(조승우)의 순애보에 동화되기엔 그 얕은 사연에 감정을 담그기 망설여지고, 대원군(천호진)과 명성황후 민자영(수애)이 벌이는 심리전까지 어지럽게 날뛰는 통에 감정이 산만하다. 그 가운데서 판타지에 가깝게 연출된 CG액션신이 종종 스크린을 채운다. 분명 멜로적 플롯이 주가 되는 것 같은데 멜로에 집중하자니 손발이 오그라들고, 역사적 플롯에 눈을 돌리자니 영화를 볼 이유가 없어지는 느낌이다. 이건 멜로드라마도, 역사스페셜도 아니다. 그러니까 결국 명성황후를 러브스토리의 주인공으로 치환해서 얻어낸 값어치가 고작 이거란 말이다. 그러니까 고작 이걸 해보자고 92억이나 되는 제작비를 썼단 말이다. 덕분에 미술은 꽤나 볼만하다만, 스크린을 전시관 윈도우로 착각하는 이들은 없을 테니, 이걸 어쩐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