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이란 말은 부질없다.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을 뒤집어 가정하는 건 어디까지나 불필요한 첨언에 불과하니까. 하지만 현실이 아닌 허구 안에서 가정이란 유효한 착상이다. 논픽션이 아닌 픽션의 세상을 그리는 이야기꾼들에게 가정이란 발칙한 야바위이자 무궁무진한 떡밥이니까.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이하, <바스터즈>)은 픽션으로 디자인된 논픽션의 세상, 다시 말하자면 영화로 이입된 현실의 역사를 전복시키고 깔깔거리는 유희다. 어쩌면 메가폰을 쥔 당사자가 쿠엔틴 타란티노란 사실만으로도 알만한 사람들에게 <바스터즈>는 싹이 노란 영화일 것이다. 그리고 <바스터즈>는 과감하게 돌진하는 피칠갑의 난장 속에서도 과장과 비유를 뒤흔들어 능수능란한 유머로 발화시키는 타란티노적 시네마천국이다.
총 다섯 챕터로 구성된 <바스터즈>는 중심인물을 달리하는 챕터의 나열을 통해 사건을 범위를 빠르게 넓히고 영화적 세계관을 급속도로 확장해낸다. 1941년, 유태인 사냥꾼으로 악명을 떨치는 독일군 나치의 한스 란다 대령(크리스토프 왈츠)의 악랄한 만행과 유태인 소녀 쇼샤나 드레이퍼스의 탈출을 그리는 첫 번째 챕터는 나치를 살해하는 임무를 띠고 독일로 파견되는 미군, 일명 개떼들(Basterds)이라 불리는 알도 레인 중위(브래드 피트)의 특공대의 활약상을 그리는 두 번째 챕터로 넘어간다. 그리고 성인으로 자라 파리에서 극장을 운영하는 쇼샤나(멜라니 로랑)가 등장하는 1944년 6월의 세 번째 챕터에 다다라 앞선 두 챕터에서 별개의 동선으로 활동하던 캐릭터들의 교점을 형성하고 뒤따를 두 챕터를 통해 캐릭터의 역할을 본격적으로 접합하던 영화는 궁극적인 본색을 드러내는 피날레를 향해 가속을 올려나간다.
독일어와 프랑스어, 그리고 이탈리아어와 영어까지, 총 4개국어가 동원되는 <바스터즈>는 그만큼 수다스럽고 떠들썩한 영화다. 브래드 피트를 제외하면 대부분 독일과 프랑스에 주둔한 현지 유명 배우들로 이뤄진 캐스팅은 <바스터즈>의 현실성과 허구성을 이루는 양면적 자질이나 다름없다.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캐릭터들의 발성과 화음이 격차를 이루고 교차되거나 변환을 이룰 때, 유머와 서스펜스의 도화선에 불이 붙고 방류되듯 불거지는 사연은 급류처럼 진전된다. 또한 과감하게 전시되는 악의적 성격의 이미지는 예나 지금이나 타란티노의 영화다운 블랙코미디적 취향을 돈독히 다져나간다. 히치콕의 맥거핀 이론을 충실히 이행하는 몇몇 시퀀스는 비범한 서스펜스로 신을 지배하다가도 순발력 있는 제스처와 언어를 발휘해서 영화적 공기를 찰나에 변주해나간다.
“우리의 임무는 나치를 잡아들이는 게 아니라 싸그리 죽이는 거야.”알도 레인의 대사처럼 <바스터즈>는 정말 나치를 싸그리 죽여버리는 영화다. 허무맹랑한 허풍에 가까운 영화적 장면들은 근엄한 표정을 버리면서도 유희적 의식을 치르듯 진지하게 허구적 상황을 대면하고 펼쳐 보인다. <바스터즈>의 나치들은 역사적 죄인으로서 복합적인 죄의식의 형태를 드러내는 악인으로서 존재하기 보단 명확한 선악의 패가 나뉜 유아적 만화 속 악당처럼 단순하며 때때로 우둔하고 어리석거나 교활하다. <바스터즈>는 히틀러 암살을 시도하게 되는 알도 레인과 쇼샤나의 목표가 어느 수순까지 다다르는가를 지켜보는 것보다 그 목표에 접근하는 행위적 수단과 방식이 어떤 수순을 밟아나가는가에 관심을 둘 때 보다 유희적인 쾌감을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이다. 선악의 경계가 명확하면서도 장난끼가 다분한 인물들이 이루는 난장의 연속은 서사적 예측 범위에서 한 발자국씩 벗어난 결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거짓된 역사를 과감하게 묘사해나간다.
<바스터즈>는 영화광이라 불리는 타란티노의 영화적 유희가 무엇을 동경하고 겨냥하는가를 저돌적으로 드러내는 하이퍼 픽션이다. 스크린이 녹아 내린 극장에서 연기에 영사된 쇼샤나의 클로즈업된 얼굴은 마치 호러적 광기를 연출하고, 극장을 채운 날카로운 웃음소리는 아비규환에 빠진 관객들의 비명과 함께 거대한 난장을 부추기다 거대한 허구적 단죄로 승화된다. 물론 <바스터즈>를 나치에 대한 준엄한 심판을 이루는 비범한 작품이라 치장할 필요까진 없을 것이다. 다만 <바스터즈>가 '세상에 대한 가장 강력한 저항은 유희'라는 말을 영화로 증명하는 타란티노의 비범한 역작이란 것 정도는 인정해도 무방할 것이다. 영화적 세계관으로 이입된 현실적 부조리를 마음껏 쥐고 흔들며 조롱하는 <바스터즈>는 결국 타란티노가 지닌 영화적 가치관을 대변하는 결과물이다. 피칠갑의 난장 속에서도 과장과 비유로 상황을 비틀고 뒤흔드는 능수능란한 타란티노식 유머는 <바스터즈>에서도 강력한 쾌감을 부여하며 이를 통해 연극적 단죄마저 유쾌하게 거둔다. “아무래도 나의 최고 걸작이 되겠는걸.”알도 레인 중위의 마지막 대사처럼 그 자뻑마저도 유쾌할 정도로, <바스터즈>는 분명 재치 있는 야바위꾼 감독의 유쾌한 저항을 그리는 결과물인 셈이다.
제62회 칸영화제가 막을 내렸다. 현지시간으로 24일 오후 7시 경, 칸 뤼미에르대극장에서 열린 폐막식 및 시상식을 끝으로 12일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그리고 최고영예인 황금종려상의 주인공으로 <화이트 리본>의 미카엘 하네케가 호명됐다.
쿠엔틴 타란티노, 제인 캠피온, 페드로 알모도바르, 켄 로치, 이안, 라스 폰 트리에, 두기봉등, 거장들의 신작이 대거 경쟁부문에 초청되며 별들의 잔치라 불렸던 이번 칸영화제는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경악의 연속이었다. <박쥐>를 시작으로 라스 폰 트리에의 <안티크리스트>를 비롯해 잔혹하고 폭력의 수위가 높은 작품들이 논란을 일으켰다. 또한 기대를 모았던 몇몇 작품들은 평이한 반응을 얻으며 실망감을 더했다. 그런 가운데 제인 캠피온의 <브라이트 스타>와 미카엘 하네케의 <화이트 리본>, 쟈크 오디아르의 <예언자>가 좋은 평을 얻으며 조심스럽게 황금종려상 수상 가능성을 예상케 했다.
결국 지난 2001년 <피아니스트>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고, 2005년엔 <히든>으로 감독상을 수상했던 미카엘 하네케의 <화이트 리본>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그에 앞서 쟈크 오디아르의 <예언자>가 심사위원대상에 호명됐다. 지난 해 로랑 캉테의 <더 클래스>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황금종려상 트로피가 프랑스 영화에게 돌아갈 기회가 무산되는 순간이었다. 그에 앞서 역시나 혹평의 중심에서 논란을 면치 못했던 브릴란테 멘도자의 <키나타이>가 감독상을 거머쥐며 야유까지 얻었고, 역시나 범작이라는 평이 우세했던 로우 예의 <스프링 피버>도 각본상을 수상하며 의외의 결과를 낳았다.
한편, 지난 2004년 <올드보이>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던 <박쥐>의 박찬욱 감독은 <피쉬 탱크>의 안드레아 아놀드와 함께 심사위원상을 공동수상했다. 이로서 박찬욱 감독은 유일하게 칸영화제 트로피를 2개 이상 소유한 한국영화인이 됐다. 기대를 모으던 송강호의 남우주연상은 <인글로리어스 바스타즈>의 크리스토프 왈츠에게 돌아갔다. 브래드 피트보다도 눈에 띄는 연기를 펼쳤다는 중평이 많았다. 또한 칸영화제 최고의 문제작이라 꼽히던 <안티크리스트>에서 자학적인 연기를 서슴지 않았다고 전해지는 샬롯 갱스부르는 여우주연상으로 이에 보답 받았다. 한편 <무성한 잡초 Wild Grasses>를 발표하며 칸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됐던 누벨바그의 거장 알랭 레네는 평생공로상을 수상했다.
그 밖에 비경쟁부문인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됐던 봉준호의 <마더>는 현지에서 고른 호평을 얻었지만 지난 23일 칸 드뷔시 극장에서 열린 시상식 명단에 포함되지 못했다. 학생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씨네파운데이션 부문에 출품된 조성희 감독의 중편 <남매의 집>은 씨네파운데이션 3등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제62회 칸 영화제 수상작
황금종려상(Palme d'Or): <화이트 리본 The White Ribbon> 미카엘 하네케 심사위원대상(Grand Prix): <예언자 A Prophet> 쟈크 오디아르 심사위원상(Jury Prize): <박쥐 Thirst> 박찬욱, <피쉬 탱크 Fish Tank> 안드레아 아놀드 (공동수상) 감독상(Award for Best Director): <키나타이 Kinatay> 브릴란테 멘도자 각본상(Award for Best Screenplay): <스프링 피버 Spring Fever> 로우 예 남우주연상(Award for Best Actor): <인글로리어스 바스타즈 Inglorious Basterds> 크리스토프 왈츠 여우주연상(Award for Best Actress): <안티크리스트 Antichrist> 샬롯 갱스부르 평생공로상(Lifetime achievement award for his work and his exceptional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cinema):알랭 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