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23일에 서울시립미술관을 찾았다. <보이지 않는 사람들 Invisible People>이란 전시를 보기 위해서였다. 유엔난민협회와 제일기획이 공동으로 기획한 전시로서 개최된 지 2주 정도가 지난 시점이었다.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사람들’이란 전세계의 난민들을 의미한다. 난민들은 고국을 잃어버린 사람들이다. 전쟁으로 인해서, 종교적인 문제로 인해서, 인종 학대로 인해서 자신의 나라를 잃었거나 등져야만 했던 이들을 우린 난민이라고 부른다. 지난해 UN의 통계 발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난민의 수가 약 4천5백2십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4.1초당 1명의 난민이 발생한다고 한다. 무시할 수 없는 숫자다.
3층에 있는 전시장에 들어서서 볼 수 있는 건 전시장 벽을 둘러싼 영상이다. 벽에 걸린 한 LCD 모니터에선 난민들에 대한 사연과 난민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을 담은 짤막한 영상을 재차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나머지 모니터에선 무언가에 시선을 고정시킨 영상이 중계되고 있었다. 미술관 안팎에 놓인 카메라를 통해서 중계되는 실시간 영상이 공통적으로 비추는 건 난민들이었다. 물론 실제 난민이 아니다. 전시를 기획한 제일기획의 김홍탁 마스터의 말에 따르면 이 모든 미니어처는 아프리카의 난민촌에서 만난 난민들을 3D 스캔한 뒤 3D 프린터로 제작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실제 난민의 미니어처는 전시장 곳곳을 비롯해서 미술관 안팎의 사소한 풍경 속에 자리하고 있다. 모니터 너머에선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 머무는 풍경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전시장 곳곳엔 미니어처들이 배치돼있고, 전시 카탈로그엔 전시장 지도로 이 미니어처들이 자리하는 공간을 소개하고 있었다. 그리고 미니어처들의 주변엔 모델이 된 난민의 이름과 QR코드가 있는데 이 QR코드를 통해서 스마트폰으로 그들에 대한 직접적인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전시장 중앙에 자리한 기둥의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서 응원의 메세지도 전달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한 아이디어와 의미 있는 메시지를 결합한 기획으로서 흥미를 제시한다. 다만 인터뷰 영상에 좀 더 심도 있는 내용을 담을 수 있었다면 보다 진한 의미를 전할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도 남는다. 김홍탁 마스터는 실질적으로 미니어처를 접근성이 좋은 공간에 배치하고 싶기도 했지만 개당 30만원 상당인 미니어처의 훼손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이런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불가능했다는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전시장의 좁은 면적 또한 관객의 흥미를 휘발시킬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좋은 아이디어를 통해서 좋은 시도를 해본다는 점만으로도 <보이지 않는 사람들>은 가치 있는 전시라고 생각한다. 예산이라던가, 여러 가지 현실적인 한계를 아이디어로서 돌파구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최소한 ‘보이지 않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 사람들’이 될 수 있다는 여지라도 열어줄 수 있다면 성공적인 전시가 아닐까. 원래 3월 2일에 종료될 예정이었던 전시는 3월 30일까지 계속된다. 참고로 관람료는 무료다. 그저 찾아가기만 하면 보인다.
고흐의 그림은 고흐의 삶이 무엇을 증명하고 있는가에 대한 깊은 감회와 허무를 동시에 쥐어준다.
목사가 되려 했으나 신학교 입학에 실패하고 그림에 입문한 고흐는 뒤늦게 자신의 열정을 불태운다. 물론 그가 처음부터 그림에 뛰어난 소질을 보인 것은 아니었으나 그의 그림에 배어있는 짙은 고독은 분명 그의 앞날의 행보가 심상치 않으리란 것을 짐작할 수 있게 했으리라.
살아생전 단 한 점의 그림만을 400프랑에 팔았을 뿐인 고흐는 평생 가난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나 동생 테오의 뒷바라지로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 그의 그림이 상상을 초월하는 가격으로 매매된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이는 참으로 역설적이다.
언젠가 내 그림이 물감보다 가치 있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고흐의 말대로 현재세상은 그의 그림이 물감과 비견할 수 없는 가치를 지녔음을 인정하고 있다. 고흐의 인생에서 그는 남루하고 정신 나간 소행의 붓쟁이에 불과했지만 그의 인생이 없는 현실에서 그는 세상에 큰 감명을 주는 인물로 전해지고 있다.
삶이란 무엇인가, 고흐는, 그리고 그가 남긴 그림은 그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그의 그림에는 지독하게 새어 나오는 깊은 고독과 슬픔이 무겁게 눌러앉아있으며 그와 동시에 가슴 속에서부터 끝없이 분출되어터져 나오려는 열정과 갈망으로 끊임없이달아올라 대류 하는 기운들로 가득 차 있다. 그의 삶이 우울했던 건 그의 뜨거운 열망이 현실의 차가운 질시에 갇혀 염원의 단계에 머물러 있어야만 했기 때문 아닐까.
그는 갈망했으나 현실은 그를 갈망하지 않았다. 그것이 고흐의 비극이었고 오늘날 전해지는 숭고한 인간의 역사다. 비참했던 삶 너머의 영광 속에서 과연 고흐가 살아가고 있을까. 저 그림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 것일까. 오늘날 고흐의 그림이 제 가치를 인정받는다 한들, 고흐는 무엇을 보상받을 수 있는가. 물론 사람은 이름을 남긴다고 그런 삶은 그만큼 가치 있는 거라고, 그 누구는 말할 수 있겠지만 그건 훗날 그가 남긴업적의 혜택을 누리는 자들의 궤변일 뿐, 고흐의 삶과 무관하다.
물론 그는스스로 행복하다고 말했다. 그림을 그릴 수 있어서. 그것이 아니었다면 자신은 아무것도 아니었을 거였기 때문이라고.고흐의 뜨거운열정과 깊은 고뇌를 이해해주는 유일한 동반자는 아마도그의 그림이었을 것이리라.자신이 이해해주고자 했던 오랜 벗의 가치를 오랫동안 스스로 증명하고 있는 고흐의 그림들은 아름답지만그래서 지독하게 쓸쓸하다. 떠난 자리를 홀로 남아 지키고 있는 것만 같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