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인형 놀이를 하듯이 영화를 만들어왔던 웨스 앤더슨 감독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은 놀랍도록 비범한 걸작이었다.

 

Posted by 민용준
,

이 마지막 편은 (원작을 읽었다면) 누구나 아는 그 결말로 나아간다. 해리 포터(다니엘 래드클리프)는 필생의 적 볼드모트(랄프 파인즈)가 자신의 영혼을 나눠 숨긴 호크룩스들을 찾아내 파괴해 나간다. 그 과정에서 신변의 위기를 느끼는 볼드모트는 자신의 수하인 죽음을 먹는 사람들을 동원해서 해리 포터와 그의 주변 인물들을 압박해 나가고 그 위협은 호그와트까지 번져나간다. 그리고 해리 포터와 그를 위시하는 마법사들은 호그와트에서 최후의 결전을 벌인다. <해리 포터>시리즈는 영웅적인 면모를 타고난 해리 포터의 성장통을 다룬 어드벤처 판타지물이다. 그리고 이제 모든 것이 끝난다.’

'cineman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광구>단평  (0) 2011.07.27
<고지전>그곳에 사람이 있었다  (0) 2011.07.21
<고지전> 단평  (0) 2011.07.12
<초(민망한)능력자들>정신 나간 시대 속의 사람들, 그들을 위한 송가  (4) 2011.07.09
<카2> 단평  (0) 2011.07.07
Posted by 민용준
,

17살이 되는 해리 포터(다니엘 래드클리프)를 맞이하는 건 죽음조차 불사해야 하는 고난이다. 이름을 말할 수 없는 그 사람, 볼드모트(랄프 파인즈)를 상대할 희망이라 믿었던 호그와트의 교장 덤블도어(마이클 갬본)는 죽었고, 호그와트는 볼드모트를 추종하는 죽음을 먹는 자들의 수중에 넘어갔다. 마법부의 존립마저 장담할 수 없는 마법세계로 언론과 권력을 장악한 볼드모트의 공포가 짙게 드리워져만 간다. 그리고 해리포터와 론(루퍼트 그린트), 헤르미온느(엠마 왓슨)는 볼드모트를 제거하기 위해 덤블도어가 남긴 표식을 따라 볼드모트의 영혼이 담긴 호크룩스를 파괴하는 여정에 나선다.

Posted by 민용준
,

제우스가 만들어낸 인간들과 마찬가지로 올림푸스의 신들도 욕망하는 존재다. 엄밀히 말하자면 그리스 신화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신의 군상이란 현대적 의미에서 당시 인간들이 만들어낸 허구적 세계관 속의 가공적인 캐릭터에 가까운 것이다. 곧 그리스 신화란 오늘날에 있어서 내러티브가 존재하는 판타지의 소스로서 유용하다. 인간을 탄생시켰다지만, 인간에 의해 창작되었고, 인간을 지배한다지만, 인간에 의해 완성된, 인간사의 또 다른 판본이나 다름없다. 특히나 창작력의 고갈에 다다를 정도로 컨텐츠의 소비가 극대화되고 리메이크가 득세하는 요즘의 시대에서 그리스 신화와 같이 방대한 세계관은 분명 아이템에 목마른 창작자들의 구미를 당길만한 화수분의 세계일 것이다.

Posted by 민용준
,

결벽적인 화이트 칼라가 지배하는 정돈된 식탁과 책상 위로 시선이 미끄러져 나간다. 그리고 그 공간만큼이나 단정하게 머리를 빗어 넘긴 남자가 시야로 들어온다. 그의 눈빛은 때때로 공허하다. 그 남자의 시선에 놓인 초점이 종종 현재가 아닌 과거로 맞춰진 탓이다. 유년시절의 한 페이지가 투명한 창 너머의 광경 기억 너머에서부터 소환된다. 그리고 그 기억은 15세 시절의 열병과 함께 찾아온 기이한 러브스토리에서 출발한다.

Posted by 민용준
,

<킬러들의 도시>는 의뭉스럽게 전진하는 영화다. 인과관계의 원인을 가리고 전사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는 와중에 백치미적인 대사에서 비롯된 유머가 분위기를 띄운다. 그럼에도 좀처럼 품위가 훼손되지 않고 정체 모를 상실감이 묵직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영화의 감춰진 속내가 차근차근 드러나는 과정 한편에서 또 다른 인과관계로 작동할 주변 환경과의 구조적 연계가 디테일하게 구축된다. 흡사 가이 리치스러운, 우연적인 관계의 교차를 통한 필연적 사건의 재구성처럼 보이기도 하나 남발된 양상이 아니며 차기 장면에서 드러나는 반전적인 상황이 항상 예측 범위를 극복하고야 만다. 일반인으로서 쉽게 이해하기 힘든 젠틀한 영국 킬러들의 프로페셔널한 규약은 때때로 웃음의 매개체가 되지만 이는 중후한 느와르적 프라이드를 연출하며 비범한 정서를 끝내 이루고 만다. 궁극적으로 <킬러들의 도시>는 죄책감을 속죄하는 자와 이에 보혈을 내리는 자, 그리고 그 보혈을 요구하는 자에 대한 사연이다. 유머가 발생하나 천박하지 않고 전통적 도시의 풍광만큼이나 고풍적인 정서를 연출한다. 중세의 흔적이 보존된 브리주를 관조적인 시야로 바라보는 카메라 너머의 풍경과 어울리는 캐릭터들의 능숙한 연기는 하나의 관건이다. 생소한 도시는 유배지가 되고, 무덤이 되며 재생의 도피처가 된다. 비범하게 재기발랄한 성찰이 돋보인다. 

Posted by 민용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