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가 가사의 기원을 찾아서.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이하, <슬픔보다>)는 정리하자면 이렇다. 좀 더 친절히 말하자면 어떤 유행가 가사에 담긴 실화를 찾아가는 이야기다. (실제로 이승철이 연기하는) 이승철은 자신의 필이 꽂힌 어느 무명 가수의 노래말을 작사한 작사가를 찾아 가지만 찾을 수 없다. 그 사연을 얘기하자면 길다. 그리고 <슬픔보다>가 바로 그 사연을 담은 이야기다.
케이(권상우)와 크림(이보영)이라고 서로를 지칭하는 남녀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연인이 아닌 동거인으로서 살아간다. 부모가 죽었거나 떠난 그들은 서로에게 의지하며 세상을 살아간다. 하지만 케이는 크림을 사랑한다. 그럼에도 고백할 수 없다. 그의 플라토닉한 사연은 그가 불치병에 걸렸기 때문이다.-영화는 이미 초반에 그 사연을 드러내버리므로 이는 명백히 스포일러가 되지 못한다.- 그는 걱정한다. 자신이 떠나면 크림은 혼자가 될 것이므로. 그래서 고민한다. 크림을 위해 좋은 남자를 마련해주겠다고. 흡사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어미개가 새끼를 위한 식량을 비축하는 심정과 다를 게 없다. 냉정하게 말하자면 그렇다. 이건 필히 비현실적인 러브스토리다.
비현실적이라는 말이 나쁜 의미는 아니다. <슬픔보다>에선 순정만화의 체온이 느껴진다. 때때로 낯간지러운 비유적인 대사들이 차고 넘치며 유행가 가사를 넓게 풀어헤친 듯한 사연이 스크린에서 펼쳐진다. 그 비현실적인 관계와 사연 속에서 신파가 흐른다. 문제는 그 모든 감정들이 딱히 사랑이라는 감정을 온전히 설득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것이 비현실적으로 체감되지만 특수한 사연이라 이해한다면 일면 그럴 듯한 내용이라 감안하지 못할 건 없다. 세상의 모든 사연들은 타인의 입장에서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없지 않으니. 다만 그 감정마저 인공적인 뉘앙스에서 벗어나지 못해서 심각할 따름이다. 무엇보다도 사랑하는 여인의 옆에 좋은 남자를 남겨줘야 한다는 남자의 태도가 다분히 비현대적이다. 순수한 사랑이라기 보단 마초적인 기운이 은연중에 감지된다.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작사가의 존재 여부는 그냥 허탈하게 웃고 말일이다.
사랑을 온전히 설득하지 못하는 이야기 속에서 장황하고 능숙한 언어적 비유는 되레 허망해진다. 게다가 그 비유를 품고 있는 사연의 테두리가 작위적인 혐의로 스스로를 구속하는 양상 속에서 언어는 갈 길을 잃고 홀로 반허공에 뜬다. 남자의 일방적인 선택이 알고 보니 다른 한쪽의 암묵적 동의를 거치고 있으며 또 알고 보니 또 다른 이의 헌신에서 비롯된 사연이더라, 란 식의 완벽한 우연에 기댄 삼각구조 신파 모드를 보고 있노라면 껍데기만 남은 감정들이 전시되는 쇼윈도를 보고 있는 기분마저 든다. 투명하다기 보단 표백됐다는 말이 어울리고, 순수하다기 보단 유치하다. 신파는 나쁜 게 아니다. 다만 신파인 척 포장된 거짓말이 나쁜 거지. <슬픔보다>는 그런 거짓말이다. 감정을 팔아먹는 문장으로 채워진 하이틴 시집마냥 언어로 포장된 텅 빈 감성에 불과하다. 슬픔보다 손발이 오그라든다. 특히 후반부의 내레이션 구조는 최악의 고문이나 다름없다.
한때 물밀듯이 쏟아지는 조폭코미디가 한국영화계를 장악하던 호시절이 있었다. <조폭마누라> <가문의 영광> <두사부일체> 등 희화화된 조폭 캐릭터를 통해 코믹한 설정을 이어가던 조폭코미디는 흥행가도를 달렸다. 그 뒤로 시리즈가 양산되면서 설정의 질적 묘미보단 가공된 웃음의 양적 팽창이 극대화됐고 그만큼 관객은 점점 식상해 했다. 그럼에도 한동안 프랜차이즈를 유지하던 조폭코미디는 끝내 한동안 시장에서 모습을 감췄다. 관객은 조폭코미디를 소비하면서도 때때로 그것을 충무로 영화를 비난하는 질적 표준으로 손가락질했다.
<유감스러운 도시>(이하, <유감 도시>)는 과거의 향수와 무관하지 않다. 심지어 정준호와 정웅인, 정운택, 그리고 김상중까지, 과거 <두사부일체>의 기시감도 덧씌워진다. 게다가 메가폰을 잡은 이는 <두사부일체>의 속편인 <투사부일체>의 김동원 감독이다. <유감 도시>는 정확하게 조폭코미디의 혈통을 계승한다. 속편의 양산으로 질적 하락을 거듭했지만 과거 조폭코미디의 시작은 나름대로의 설정적 묘미를 품고 있었다. 브랜드 네이밍을 거둘만한 실효가 어느 정도 존재했다는 의미다. <유감 도시>는 일종의 출발점이다. 속편이 아닌 이상에야 나름대로의 설정적 묘미는 검증할만한 자질을 보여야 한다는 의미다.
누가 봐도 <유감 도시>는 <무간도>를 삼켰다. 물론 <디파티드>급의 변주적 능력은 없다. 그저 코미디를 위한 일종의 패러디적 포석으로 <무간도>를 지목했을 따름이다. 경찰은 조폭이 되고, 조폭은 경찰이 된다. 설정은 누구나 아는 그것과 같다. 형태적으로도 홍콩 느와르의 비장함을 종종 내비친다. 그리곤 비범한 듯 묘사되는 상황을 코미디로 전복시킨다. <유감 도시>는 비장함을 묘사하는 척 하다가 우스꽝스럽게 그 상황을 전복시킨다. 이 형태가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내러티브를 전진시키는 와중에 개그콘서트에 가까운 상황들이 수없이 치고 빠진다. 때때로 희극적인 대사나 상황들이 발견되긴 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지극히 촌스럽고 장기적으로 지루하다.
이야기가 뻔하다거나 그런 건 애초에 대단한 지적대상도 아니다. 산만한 구조에 대해서 왈가왈부하는 것도 어딘가 지겹다. 모든 걸 떠나서 <유감 도시>가 자신의 장기라 믿는 유머가 단연 볼품없다. 배우들의 몸개그나 육두문자가 난무하는 대사는 순간적으로나마 웃음을 유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곧 비웃음이 된다. 순간적인 웃음으로 인내하기에 앞길이 뻔한 스토리는 길고도 험하다. 무엇보다도 성매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착취적 성향의 개그들은 때때로 불편하기까지 하다. 시대착오적인 기대감이 <유감 도시>를 가득 메우고 있다. 나름대로 자기 캐릭터에 몰입하는 배우들의 연기가 안쓰러울 정도로 영화는 최악으로 다다른다.
사람은 때로 자신이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 부딪힌다. <유감 도시>는 이 대사로 시작된다. 반대로 관객은 때로 자신이 예상했던 상황에 배반당한다. <유감 도시>는 목적이 뚜렷한 영화다. 당신을 웃겨주겠다. 하지만 요즘 웬만한 버라이어티만큼의 웃음을 보장하지 못한다. TV는 적어도 관람료가 필요 없다. 단지 변변찮은 웃음을 구하기 위해서 극장까지 발품을 팔고 돈을 쓴다는 건 심각한 사치다. 아무리 시대가 흉흉하다지만 돈 주고 웃음을 사주할 정도로 판단력이 흐려질 이유는 없다. 유감스러운 영화가 또 한편 등장했다. 이래저래 시대 유감이다. 코미디영화에 대한 시대착오적인 편견에서 헤어나올 때는 이미 지났다.